조회 수 18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기본소득의 확산을 위한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와 녹색전환연구소, 한국 YMCA전국연맹의 전국투어가 열리고 있습니다. 인천의 간담회는 지난 7월 21일 YWCA강당에서 열렸습니다. 인천시당이 참여하고 있는 기본소득 인천공동행동이 행사를 같이 진행했습니다.  

제가 인천에서 준비하고 있는 '기본소득 청년조례'에 대한 발제를 했습니다. 인천 청년들이 겪고 있는 상황과 인천시의 재정적인 가능성,그리고 앞으로 계획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내용은 이렇습니다. 


"인천의 청년실업률은 전국 상위권이며 광역시도 중 가장 높습니다. 국가공단이 있지만 파견업 등 불안정하고 저임금의 일자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구직을 포기하고나 서울과 경기 등 인접 도시로 떠나가고 있습니다. 현 인천시장은 청년이 돌아오는 인천을 만들겠다고 공약했지만 말 그대로 공약으로 그치고 있습니다.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청년들이 인천을 떠나가고 있는 것입니다. 인천시의 청년비율은 13%가 넘어서는데 청년 예산은 전체 예산의 0.06%에 불과합니다. 0.06%의 예산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리고 청년들에게는 일자리 문제만이 아니라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그런점에서 작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성남의 청년배당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인천시 예산안을 분석해 보니 순세계잉여금이 매년 1,300억원 이상됩니다. 이 잉여금은 매월 일정 금액을 인천의 청년들에게 준다는 원칙을 세워도 가능한 재정입니다. 인천시는 청년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자치단체장의 의지가 있다면 성남보다는 나은 청년정책을 수립할 수준의 예산이 있습니다. 기본소득 인천공동행동은 현재 기본소득 청년조례 제정을 위한 청원운동을 시작했고 인천시의회 정기의회 때 제출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조례안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주민들의 의견을 모으는 주민발의 운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83db874f7a2931db5ca0e4108fb7ec4e.jpg


두번째 발제는 녹색전환연구소 김현 부소장이 '청년기본소득 조례안'에 대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김현 부소장은 서울에서 청년기본소득 주민발의를 준비하고 있는 '청년기본소득 조례제정 네트워크'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청년기본소득 조례안이 담고 있는 내용에 대한 설명이 있었고 성남시 청년배당과 비교하고 청년기본소득 조례에 담아야 할 내용에 대해 설명해 주었습니다. 단기적으로 끝나는 정책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행되어야 한다며 청년기본소득 조례 제정과 함께 지방자치단체에서 이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지방의원과 자치단체의 공무원들을 충분히 설득하기 위한 과정도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말로 발제를 마무리했습니다.

607629d87dfa020e3e12b8341d149771.jpg

마지막 발제는 YMCA 전국연맹 류홍번 정책기획실장의 '청년기본소득 조례 주민발의 운동'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방안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가장 최근 안산의 주민발의 운동인 '4.16 정신을 계승한 도시비전 수립 및 실천에 관한 기본조례' 주민발의 운동을 사례로 주민발의 운동에 대해 설명해 주었습니다. 청년기본소득 조례의 중심에는 청년들이 있어야 하고 청년 중심의 수임인을 모집하고 네트워크로 모아나간다면 기본소득 운동과 지역의 운동의 새로운 전환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ae1d27769f621b627c93c964e6944238.jpg
50563c49f776396f379bb0e981206ac4.jpg


질의응답 시간이 있었습니다. 안산의 경험을 비추어 주민발의의 어려움에 대한 질문이 있었고, 기본소득 의제를 확산하기 위해 청년기본소득운동의 유효성에 대한 질문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내년 지방선거는 개헌과 함께 진행될 예정인데 기본소득이 이슈로서 주목받기 쉽지 않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발제자와 참가자들 모두 청년기본소득 운동이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주자는 운동으로 나아가기 위한 과정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기본소득의 확산을 위해 노력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60ed6f559b411cd4d5a2ddce990cd6ee.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7 `닫힌 문을 열고 공장으로 돌아가자!` 동광기연 인천지역연대 집회에 함께 했습니다. file 인천시당 2017.07.06 2028
266 [7.10~7.16] 인천시당 주간일정 인천시당 2017.07.10 1909
265 우리가 사랑하는 노동당 당명 개정을 강력히 반대합니다! 1 이근선 2017.07.15 2139
264 [부평계양 서구강화 당협] 7월 정치캠페인 file 최은정(인천) 2017.07.16 2021
263 당명 개정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장시정 2017.07.17 1900
262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원자력연구원에 대한 공익감사 청구 기자회견에 다녀왔습니다 file 장시정 2017.07.17 2290
261 이번 주 기본소득과 관련한 2개의 행사가 있습니다 file 장시정 2017.07.17 1806
260 [7.17~7.24] 인천시당 주간일정 인천시당 2017.07.17 1861
259 기본소득 정치캠페인 인천시당 2017.07.20 1716
258 4차 전국위원회 논의 내용을 설명드립니다 file 장시정 2017.07.24 2327
» 인천에서 청년기본소득은 가능한가? 기본소득 인천투어 file 장시정 2017.07.24 1860
256 30년 만의 개헌, 기본소득 개헌으로 - 온국민기본소득운동본부 간담회 file 장시정 2017.07.24 1884
255 [7.24~7.31) 인천시당 주간일정 2 인천시당 2017.07.24 2035
254 만도헬라 농성장에 다녀왔습니다 file 인천시당 2017.07.28 2252
253 인천 청년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기본소득입니다! 장시정 2017.07.28 1911
252 산업은행의 한국GM 지분 매각반대 인천지역 결의대회 file 인천시당 2017.07.28 1900
251 인천시당 주간일정(7.31 ~ 8.7) 인천시당 2017.07.31 1990
250 강령개정부터~ 당대회까지 일정 공유합니다. file 인천시당 2017.08.01 2097
249 [8.25] 인천시당 사무실 개소식 file 인천시당 2017.08.01 2728
248 기본소득 당원모임에 함께 해 주십시오 장시정 2017.08.03 1997
Board Pagination Prev 1 ...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 223 Next
/ 223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