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photo_2017-09-28_15-41-27.jpg


9월 26일 화요일, <살충제 달걀 공장식 축산이 문제다> 강좌가 열렸습니다.


 한살림 천안아산생협 김용기 논생태위원장님이 강좌를 진행해 주셨습니다.


달걀의 다양한 쓰임, 농가에서 살충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이유, 계란에서 검출된 살충제의 독성 물질 비교(피브로닐과 비펜트린외 DDT)를 알아보고 현재 우리나라의 대다수 닭 사육 농장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효율화, 기계화, 노동집약, 밀집화, 대영화, 기업화되어 있는 현재의 케이지 사육방식!!

국내 산란계 농가의 94%가 닭의 고유한 본성을 무시한 공장식 사육을 하고 있습니다.

창문이 없는 시설에 흙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는 환경속에서 질병과 해충에 대한 자가 방어가 불가한 닭들에게 농민들은 정기적인 살충제와 항생제등을 살포합니다. 이과정은 닭뿐만 아닌 농부에게도 매우 해로운 환경이 됩니다.


김용기 강사는 살충제 계란의 원인을 농민의 탐욕보다는 다른 시선으로 대기업의 살충제로 보고 있습니다.

막스베버의 `합리화의 역설`을 예로 들며 합리화의 결과로 비합리화가 발생하는 선택지가 없는 상황에서 사실상 강요된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농민들을 비난할 수 있는지, 농민들 또한 합리화 역설의 피해자임을 알아야한다고 주장하시며 공장식 축산의 대안으로 다른 나라의 예를 들어 설명 하셨습니다.


핀란드는 20년전부터 공장식 축산을 금지하고 있으며, 유럽 연합에서는 2003년에 케이지 신축을 제한하고 있으며 2012년에 밀집 사육을 금지하는 법이 통과되었습니다. 미국에서도 단계적 폐지를 선언하는 주들이 있으며 캐나다는 축산농단체에서 2036년까지 폐지를 선언하였습니다.


지속가능한 농, 축산업을 위해 이윤중심에서 생명중심으로, 농민에게 농업주권을 줄 수 있도록 농민의 생존권 보장과 소농중심의 생산강화를 스스로의 먹거리를 자급하고 더 적은 사람들을 위해 먹거리를 생산하는 방식으로의 전환, 농민기본소득의 도입(생태세, 유기농 지원)등을 이야기 하셨습니다.


이후 닭과 관련된 기원 재미있는 에피소드등을 소개해 주시며 강좌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살충제 계란 파문 이후 현재는 살충제 검사 인증된 달걀을 동네의 슈퍼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시중에서 달걀을 살 수 있느니 이번에는 잘 지났다로 끝내는 문제가 아닌 공장식 축산이 아직도 유효한 한국에서 다음은 없는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강의를 진행 해 주신 김용기 위원장님께 감사드리며, 늦은 시간까지 함께 해 주신 당원 및 시민들께도 감사드립니다.


photo_2017-09-28_15-42-45.jpg


photo_2017-09-28_15-41-39.jpg


photo_2017-09-28_15-43-12.jpgphoto_2017-09-28_15-45-24.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7 [허심탄회-3] 인천시당 우리는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file 인천시당 2017.09.06 2615
226 [현수막] 노동당의 당원이 되어주세요. file 인천시당 2017.09.11 2252
225 [기본소득 개헌운동 설명회] 개헌과 노동당 file 인천시당 2017.09.11 2390
224 인천시당 주간일정 (9.11~9.18) 인천시당 2017.09.11 2175
223 [9.26] 살충제 달걀, 공장식 축산이 문제다 file 인천시당 2017.09.11 2221
222 기본소득 개헌운동을 위한 온국민 기본소득 인천운동본부 출범 file 장시정 2017.09.13 1741
221 부평 계양 서구 강화 당협 정치 캠페인 file 인천시당 2017.09.15 1650
220 [노동당 인천 노래단] 만도헬라 투쟁 문화제 file 인천시당 2017.09.15 1931
219 온국민기본소득 인천운동본부 출범했습니다 장시정 2017.09.15 2012
218 기본소득 개헌을 위한 청원 캠페인 file 장시정 2017.09.21 1765
217 [당원토론회] 허심탄회3. 인천시당, 어떻게 혁신 할 것인가? file 인천시당 2017.09.22 1888
216 인천시당 주간일정 (9.18~9.25) 인천시당 2017.09.22 1835
215 인천시당 주간일정 (9.25~10.10) 인천시당 2017.09.25 1996
214 [안내문] 2017 세액공제 file 인천시당 2017.09.26 5193
213 인천시 기본소득 청년조례' 1924 청원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file 장시정 2017.09.28 1761
» 강좌 > `살충제 달걀 _ 공장식 축산이 문제다` 진행했습니다. file 인천시당 2017.09.28 2116
211 인천시당 주간일정(10.10~10.16) 인천시당 2017.10.10 2198
210 인천시당 주간일정(10.16~10.23) 인천시당 2017.10.16 2135
209 [청원서명] 인천 청년들에게 매 월 10만원의 기본소득을! file 인천시당 2017.10.16 3011
208 [당원모임_10.28] 가을을 달리자 2017 file 인천시당 2017.10.18 2261
Board Pagination Prev 1 ...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 223 Next
/ 223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