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게시판

당원광장 / 당원게시판
조회 수 243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노동당원 여러분, 

그리고 아마도 노동당을 지켜보고 있을 여러분.


주로 페북을 통해 소통하는데다, 

일터가 보안상 외부 연결을 까다롭게 하는 통에

정작 당 게시판엔 자주 못 들러 보고 있는데요.


총선을 앞두고 당이 가장 어려운 시기에 결의를 해 주신 저희 후보들은 페북을 통해 보니,

코로나 19라는 바이러스의 위험속에서도 대중을 만나는 일을 하루라도 게을리 할 수 없는 날들을 보내고 계시더라고요.

아무쪼록 건강 무탈 하셔야 할건데...


코로나에 묻혀 어찌 돌아가는지 소식 듣기 힘들었던 총선 관련 뉴스가 최근 비례연합당 때문에 제법 자주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만감이 교차하기도 하는 뉴스 때문에 안타깝고 속상한 분들도 많으셨을 것 같아요. 


제가 처음 노동당을 지지하게 된 건 입당 전이었던 것 같은데요, 

그때는 이런 저런 상황도 몰랐고 나도원 부대표님과 당시 알고 지내던 이유로 

그저 단순히 '의리'로다가 노동당을 지지하겠다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 제 주변엔 통진당에 비례 투표를 하겠다는 이들이 제법 많았는데 

그 분들은 지금이야 말로 '진보 대통합' 의 기회라고, 저의 선택을 말렸습니다. 

그 분들의 말씀도 이해는 되었는데, 제가 그때 했던 답은,

'여태까지 함께 하지 못한 진보가 이제와서 뭉친다고 향후를 잘 도모할 수 있을까?'라는 

아주 단순한 답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진보는 분열로 망한다는 말이 많은데, 

그런데도 저 멀리서 보면 다들 거기서 거기 같긴 한데,

가까이서 보면 각자의 우선 순위가 다르고 

그에 대한 이유와 결론에 대한 의견들이 또 각각 타당합니다. 


진보가 분열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세상에 위급한 곳, 일들이 너무 많기 때문일거에요. 


그 어느곳도 중요하지 않은 문제가 없지만 차마 '선택과 집중'을 하자고 못하는 이유는, 

그 어느 연대를 끊었을 때 소외당하는 가장 끄트머리의 연결을 가지고 있는 것이 진보 각각의 역할이라서 그런걸겁니다. 


요번 코로나 19로 인해 가장 먼저 쓰러지는 이들은 임대료에 치어 죽는 소상공인 자영업자, 농민들,돌봄 노동의 사각지대에 있는 비정규직 교사, 위험한 외부에 노출되어서도 제대로 안전을 제공 받지 못하는 청소 노동자, 학교와 학원, 보육시설 마비로 아이 맡길 데 없는 부모들, 특히 여성들, 단독 자가 격리로는 생사 조차도 어려움이 있을 장애인들, 기업 경영난이라고 당연한듯 해고되는 노동자들, 해외 입국 노동자들 등등...이었습니다. 


또한 여러가지 형태의 혐오와 차별을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 구석 구석 다양한 형태로 보게 되었습니다. 


마스크를 썼는데 비로소 우리는 서로의 맨 얼굴을 보게 된 것 같지 않나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없으면 생존 할 수 없단 걸 너무 잘 알지만, 

바이러스로 인하여 일상이 무너지고 드러난 계급간의 차별은 

여러가지 해결점을 다양하게 고민하게 했었는데요. 단지 돈으로만 모든게 해결된다면 좋겠지만,

대놓고 드러난 이 다각도의 차별과 혐오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다른 재난에 또 다시 취약계층과 서민들은 고통 받겠지요.


결국 사람의 일은 사람이, 

사람을 진정으로 존중할 수 있을 때 해결 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요. 


끄트머리에서 잡은 손을 놓지 않고 외쳐주는


- 사람 귀한 줄 아는 정당 이라서, 


노동당은 섣부른 통합을 기회의 끈으로 부여잡지 않습니다.


분열 할 망정 소멸하진 않을 것 입니다.


저희가 잡은 손에 언젠가는 누군가가 더 튼튼하게 한 손 더, 내밀어 줄 것을 믿는 이유는 

저희가 가는 길이 꽃길을 바라는 길이 아니라, 

그저 밟고 탄탄히 갈 수 있는 바닥의 길이길 바라기 때문일 것 입니다.


꽃은 계절이 지나면 볼 수 없지만 길은 항상 그 자리에 있으니까요.

누구에게나 언제든 똑같은 '평등'한 길이 가장 소중한 것이 아닐까요.




총선을 앞두고 그 길을 다지기 위해 어려운 출정에 나선 후보님들께 응원과 후원을 꼭 부탁 드립니다.


저희가 가장 낮은 곳에서 가장 탄탄한 길을 다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고] 충북도당 임원 및 도당 대의원 후보등록 결과 충청북도당 2019.01.05 104432
공지 [공고] 충북도당 재선거 공고 및 후보등록서류 file 충청북도당 2018.12.24 107371
공지 [노동당 후원 안내] 노동당을 후원해 주세요 노동당 2017.11.08 191629
76515 [월간보고] 부산시당 2020년 4월 소식 file 부산광역시당 2020.04.01 3185
76514 [부산시당]당원 동지들 총선에 함께합시다! 베레레 2020.04.01 2073
76513 자본을 멈추고 사회를 가동하자 숲과나무 2020.03.31 2238
76512 제21대 국회의원선거, 한국사회 체제전환을 위한 노동당 15대 핵심공약 file 노동당 2020.03.30 4340
76511 공공무상의료와 파주지역위 정책현수막 내걸기 숲과나무 2020.03.29 1729
76510 보수양당체제 그 공고함이여... 숲과나무 2020.03.29 2039
76509 지금은 가계살리기가 우선이다 숲과나무 2020.03.25 2387
76508 [전국위원 이주영] 서울 남서권당협 당원들에게 Julian 2020.03.24 2100
76507 파주지역위 8대 정책 종합현수막 내걸기 숲과나무 2020.03.24 1777
76506 노동당 2020 총선 슬로건 설문조사 결과 file 노동당 2020.03.23 3767
76505 n번방에 대한 논평 4 대표물고기 2020.03.23 2615
76504 가계부터 살리자 숲과나무 2020.03.23 2052
76503 1연방2체제 고려반도 영구평화 실현 숲과나무 2020.03.21 1883
» 꽃길이 아니라 흔들리지 않는 땅의 길로 류성이 2020.03.20 2431
76501 정책위에 제안 합니다. 교육체제 재구성에 대해 1 신기욱 2020.03.20 2323
76500 녹색위(준) 오프라인 모임 공지 1 담쟁이 2020.03.19 2101
76499 모든 당원이 리더인 정당 민주주의 원칙을 지키는 정당 지봉규 2020.03.19 1962
76498 육아가사노동 사회화, 법정 가족구성 자유화 숲과나무 2020.03.19 1918
76497 정책위원회의 생태정책 검토회의에 참가했습니다. file 담쟁이 2020.03.17 1999
76496 그들을 자유롭게 하자 숲과나무 2020.03.17 1910
76495 [부고] 고 최정규 독일 당원 별세 3 file 노동당 2020.03.16 4039
76494 노동당 2020 총선 슬로건 설문조사 file 노동당 2020.03.16 4248
76493 녹색당이 여기서 멈추길 바란다. 숲과나무 2020.03.15 2424
76492 마스크 무상분배 긴급생계비 지급 숲과나무 2020.03.13 1905
76491 선거는 이겨야 한다고... 숲과나무 2020.03.13 2280
76490 [정책위원회] 정책위원을 모십니다 최냉 2020.03.12 19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956 Next
/ 2956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