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게시판

당원광장 / 당원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비례 전략명부를 작성하는 원칙에 대해서는 대체로 모두가 공감대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민노당시기 비대위 혁신안에서 출발한 이 구상은, 진보정치세력의 혁신을 선거시기 인적으로 표명하기 위해,

당내 세력관계가 아니라,
사회적 대표성과,
이후 원내투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
,
이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명부를 작성한다는 구상이라 생각합니다.  

한마디로, 사회적 약자, 소수자 및 사회의제의 대표성을 명징하게 상징하거나,
보수정치에 맞서 원내투쟁을 제대로 수행할 저격수거나 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진보신당 창당에 대해, 공동총선대응기구로 출발해서, 그 토대 위에 진보의 혁신에 뜻을 함께하는 제 흐름과 더불어 실질적 창당을 한다는 경로를 그리고 있는 만큼, 진보혁신 진영의 정치적 연대라는 원칙 역시 포함되어야 하겠지요.

문제는, 우리가 실제로 몇명을 의회에 보낼 수 있느냐는 부분입니다.
비례배분 한계를 돌파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이지 않으나, 그 다음은 얼마나 가능할지 현재로서는 판단이 잘 서지 않습니다.

그것은, 곧장 그래도 당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앞 순번의 '설계'에 대해 여러 고민을 하게 합니다. 한마디로 '사회적 대표자냐, 저격수냐, 어떤 비율로 섞을 거냐' 하는 것입니다.

얼핏 생각하듯, 이는 실리냐, 명분이냐이 논란구조는 아닙니다.

두 가지 실리, 두 가지 명분 사이의 고민입니다.

하나는, 정치적 관심이 고조된 선거시기의 명료한 상징성의 이익, 사회집단, 의제에 대한 대표성이라는 명분이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장기적인 원내투쟁의 관점에서 보수세력을 타격하고, 진보적 대안을 공론화 하는 문제라는
실리와 명분이 있는 것입니다.

저는 그래서, 일정한 '역제안'을 하고 싶습니다.

초기 1-3번을 대표자-저격수 1대 2의 비율로 구성하자는 것 입니다. 
의석수가 최소수준에 가깝다 해도, 해야 할 일은 어느정도 해 낼 수 있는 의원단을 구성하자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능한 1-4(6) 번대의 명부를 구성하는 인사들 중 일부에 대해 (아마도 소수자, 비정규, 녹색의제 후보에 대해) 사회당이나, 초록당 등의 공식적인 동의-지지표명을 얻는 것을 추진하자는 생각입니다. (추천받는 것도 좋구요.)

3번 이후의 순번은 대표성/전문성,명망성을 1대 1로 섞어 나가구요.

  • 맑은물 4.00.00 00:00
    사회당이나, 초록당 등에서(만일 공식적인 절차에 의해 가능하다면) 추천하는 혹은 지지할 수 있는 후보가 1~3번에 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초록을 너무 좁게 한 부문으로 간주해버리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삐딱선 4.00.00 00:00
    글쎄요. 구 민주노동당에서 국회의원 보좌관 풀제가 깨지고 보좌관이 각 의원실에 부속되면서 의원단의 활동이 '의원 개인플레이'가 되어 버렸던 역사를 상기한다면, 진보신당의 의원단은 의원 개인이 '저격수'가 되는 형태를 취해서는 좀 곤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도 굳이 '저격수'를 집어 넣어야 한다면, 어쨌든 그 저격수는 1번이 되어서는 안 될 거라고 생각하구요.
  • 웅얼거림 4.00.00 00:00
    비딱선/ 혹시 'Enemy at the Gate'라는 영화 보신 일 있으신지요. 저격병도 혼자 하는 일은 아니지요 . 작전 속에 일부이고, 저격팀의 일원입니다만... 결정적으로 사수가 총을 제대로 못쏘면 저격은 실패입니다 . 이해 못하는 걸 외워서 떼우는 건 한계가 있습니다. 만일 어디 토론 나가면 의외의 질문 한방으로 무너지지요. 아시겠지만, 심지어 시사토론도 대충의 주제를 받아놓고 팀워크로 준비해서 나가는 겁니다만, '선수'에 따라 실제 토론 진행은 많이 달라집니다. 원내에서 결국 실제 장소에서 사안을 대면하는 것은 '1인 입법기관'인 의원단입니다. 보좌관을 풀 제로 하건, 전속시켜 하건, 직접 나가 맞상대해야 할 당사자가 사안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끄는 실력이 안되면, 외워서 한두마디 하다 깨지는 겁니다. 구 민노당 의원실과 보좌관 운영을 말한다면, 결국 의원실에 자기사람/우리편 사람 끌어들이는 식으로 운영한 셈인데, 그 와중에서 자기 편 사람 잔뜩 끌어들여 원내활동까지 삽질한 의원실이 있는가 하면, 자기 사람으로 채워도 나름 일은 제대로 할 인력풀을 구축한 의원실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건 결국 원내대표자의 개인기와 무관하지 않은 문제입니다. 그리고 보좌관 풀제는 깨졌어도, 사안에 따라 보좌관들이 의원실을 넘나들며 활동한 것도 있습니다. 덧붙여 말하면, 저는 구 민노당 시절 좌파들이 원내-원외에 대해 생각했던 것의 많은 부분이 실제상황 속에서 작동가능 한 것에 대한 인식보다는 막연한 '정치적-윤리적 이념형ideal type'에 치우친 구석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정당은 정당(일 뿐)이고, 그 목표는 (이념과 지향과는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제도화된 정치적 시스템의 일부이기도 한) 정당으로서,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효과를 남기는 것이 첫번째 고려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종종 '사회운동적 정당'에 대해 예시적 모델을 녹색당에서 구하는데, 구 민노당의 경우 '사회운동정당'을 내건 제도적 시도는 되려 (90-92년에 유행하던 전투적 민중정당론 식의) '전선당의 복귀'에 한 몫 해 버렸고, (사회운동형 정당, 아무데서나 아무때나 되는 게 아니지요...) 실상은 그 원판인 독일 녹색당 조차 제도화의 과정을 그렇게 만족스럽게 넘기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저는 요즘은 차라리 '정당도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라는 격언을 상기하며 쿨 하게 생각하는게 낫다는 생각입니다. 그래도 좌파정당이 득세하면 실제 삶을 살아가는 대중에게는 뭐라도 좀 떨어지는 게 있다는 것이 저에게는 진보정당에 대한 당장의 거의 유일한 착목점이고, 대중 속에 좌파정치에 대한 그런 원초적 체험을 쌓아야 하는 진보정당의 첫 시즌의 역사적 과제에 한참 미달한 지점에서, 전형적인 운동권 삽질의 집적과 집중 속에 자폭해버린 구 민노당이 싫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고] 충북도당 임원 및 도당 대의원 후보등록 결과 충청북도당 2019.01.05 104568
공지 [공고] 충북도당 재선거 공고 및 후보등록서류 file 충청북도당 2018.12.24 107519
공지 [노동당 후원 안내] 노동당을 후원해 주세요 노동당 2017.11.08 191751
127 대표단이 앉아서 만세하길 고대했었는데... 2 세바스찬 2008.03.03 5042
» 비례대표 전략명부: 두 가지 '실리'와 두 가지 '명분'. 3 웅얼거림 2008.03.03 4501
125 그럼 이 노래는 어떤지.. ^^ 2 로두스 2008.03.03 5203
124 가입했습니다. 1 최종근 2008.03.03 4773
123 "3청" 이요 2 웅얼거림 2008.03.03 4800
122 비례대표 전략적 공천에 대한 제안 2 안종기 2008.03.03 4968
121 Re: 임을 위한 행진곡. 그만 부르자! 장세웅 2008.03.03 5609
120 회원가입 관련해서 아무나 답변좀 해주세요. 1 내가삶이다 2008.03.03 4652
119 가입했습니다. 이해철 2008.03.03 5819
118 임을 위한 행진곡. 그만 부르자! 15 김대우 2008.03.03 5839
117 자기의 것을 먼저 내어놓고 서로가 나누는 실천을 통해 정당성을 획득해야 한다 file 하정호 2008.03.03 3797
116 당의 골간체계는 몇몇 인사 중심이 아닌 당원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건설되어야 한다. file 하정호 2008.03.03 4023
115 비대위는 최기영 제명이 아닌 추첨제를 통한 정파갈등 해소를 1호 안건으로 올렸어야 했다 file 하정호 2008.03.03 4326
114 당원들의 토론에 근거한 급진적 민주주의가 우리의 유일한 조직노선이다 file 하정호 2008.03.03 4339
113 대의주의에 근거한 정당론의 한계를 직시하라 file 하정호 2008.03.03 4295
112 중앙집권적 대의정치구조를 바꾸지 않는 한, 정파 갈등은 해소할 수 없다 file 하정호 2008.03.03 4648
111 총선 전 창당은 대중에 대한 거대한 사기이다. file 하정호 2008.03.03 4663
110 경남 진주에도 준비되고 있습니다. 갠다스키 2008.03.03 11389
109 (포토에세이) 진보신당 결성대회장에서 길을 헤매다 21 file 이상엽 2008.03.02 7911
108 당원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뭐가 있을까? 3 활기찬정당 2008.03.02 5545
107 반갑습니다. 지역현황 소통할수 있도록 .. 최혜영 2008.03.02 12819
106 가입 인사 올립니다 1 김성원 2008.03.02 9455
105 각 지역별 현안 연구모임 결성을 제안합니다. 3 김대우 2008.03.02 5160
104 저도 이제 작은 걸음을 시작합니다. 신익주 2008.03.02 14049
103 수원에 언제 오픈하시나요?? 3 김성연 2008.03.02 14485
102 소통하는 당이 되기를.... 1 임한철 2008.03.02 48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47 2948 2949 2950 2951 2952 2953 2954 2955 2956 Next
/ 2956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