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게시판

당원광장 / 당원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오 마이 갓!

 

우리나라의 복지가 신앙심이 부족한 것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는 김성이 예정자의 이야기를 듣고 선거를 도와주고 있는 한 친구가 내뱉은 말입니다. 그 친구는 그리스도교 신자입니다. 김성이씨의 말이 예수의 이름을 영광되게 해야 하는 것이 그리스도교인의 본분임에도 오히려 예수의 이름에 먹칠을 하고 있는 것에 대한 경악이 아닐까 합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저 또한 그리스도교 신자입니다. 물론 레즈비언인 제가 그리스도교 신자라는 것에 몇몇 신자분들은 저나 저 친구의 ‘오 마이 갓!’과는 또다른 의미에서 ‘오 마이 갓!’이라고 소리지르겠지만요.

이미 여러 언론에서 김성이씨의 망언에 대해서 그렇지 않아도 한국 사회를 보수 그리스도교가 좌지우지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많이 표하였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을 하느님에게 봉헌한 것에 비유하여 복지부를 하느님에게 봉헌할 것이냐는 비아냥에서부터 복지의 문제를 이렇게 안이하게 다루는 사람이 어떻게 복지부 장관이 될 수 있느냐는 질타까지 참으로 많습니다. 이 모든 반응의 핵심에는 OECD국가의 복지 예산의 1/3에 그치는 한국에서 복지장관을 하겠다고 나선 사람이 이것을 신앙의 문제로 바라보는 것에 대한 한심함이 그 핵심을 차지하고 있다고 봅니다.

저는 성정치의 관점에서 김성이씨의 발언의 문제를 좀 바라보고 싶습니다. 김성이씨는 이번에 발각된 망언 씨리즈에서 ‘가족이 잘되면 복지가 다 잘 된다’는 취지의 말을 하였습니다. 오 마이 갓. 저는 다시 한 번 외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가족보고 더 잘 하라니요. 아니, 전세계에 대한민국의 가족보다 더 온 몸으로 온갖 복지를 다 떠맡아온 사회가 있나요? 한국에서 가족은 그 자체로 생산단위이자, 복지단위이자, 은행이자 보험기관인, 그래서 복지란 복지는 온갖 것을 다 떠맡아온 단위가 아니던가요. 국가와 사회가 국민의 복지를 위해서 해 준 것이 하나도 없을 때 ‘계’를 통하여, ‘부동산 투자’를 통하여 가족의 복리후생을 감당한 것은 가족이었고, 그 가족의 뒤에는 여성들이 있었습니다. ‘어머니’의 억척스럽고도 ‘숭고한’ 희생을 바탕으로요. 이건 박완서의 소설을 한 권만 읽어봐도 알 수 있는 대한민국의 보편적인 근대사입니다. 근데 이 가족보고 더 잘하라니, 김성이씨가 정작 하고 싶은 말은 그 자체로 국가와 사회의 역할을 떠맡았던 ‘어머니’라는 이름의 여성들이 요새 그만큼 허리가 분질러지도록 ‘민족의 어머니’가 되지 않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고 싶은 것일까요?

게다가 저는 이 이명박 대통령의 수퍼 울트라 신자유주의 정책앞에서 ‘가족’을 운운하는 김성이씨를 보며 다시 한번 ‘오 마이 갓’을 외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미국의 신자유주의 정책의 핵심이 무엇입니까? 참으로 교묘하였습니다. 한편에서는 가족의 가치를 한껏 높이면서도 다른 한편에서는 가족이 지속될 수 있는 모든 복지 예산을 축소하지 않았습니까? 가족이 사회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모두 다 제가하면서 가족의 가치만을 한껏 부상시키며 실질적으로 가족의 붕괴를 초래한 것이 신자유주의라는 것은 이미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인데 이 사기를 치겠다니요. 마지막이자 결정적으로 제가 ‘오 마이 갓’을 외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가족 운운하는 그의 말에는 가족을 구성할 권리조차 없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고려는 ‘너무나 당연한 듯이’ 찾아볼 수도 없다는 사실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성소수자는 가족처럼 살고 있다고 하더라도 배우자가 병원에 가더라도 사인 한 장 못하는 처지입니다. 내 옆 사람을 가족처럼, 아니 가족으로 돌보고 싶어도 돌보지 못하게 하면서 무슨 가족 타령입니까?

그래서 그의 가족타령은 허구입니다. 그의 가족은 이성애자의 가족도 지탱시켜주지 못하고 있으며, 가족바깥에서 가족보다 더한 돌봄 관계를 가지고 있는 성소수자들의 관계도 망가뜨리는 ‘돌봄 파괴’의 가족일 뿐입니다. 우리 사회에 지금 필요한 것은 다양한 형태의 돌봄 관계를 국가적/사회적으로 공인하여 가족과 가족주의를 넘어서서 인정하는 것입니다. 이미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은 가족의 틀을 넘어서, 혹은 이전에는 가족의 틀로 인정받지 못하던 관계들이 가족의 틀로 재구성되면서 혈연중심의 ‘가족주의’를 극복한 돌봄의 공동체와 관계들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국가가 해야할 일은 이런 다양한 가족주의를 넘어선 가족 안과 밖의 돌봄을 더욱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권장하면서 이 돌봄이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정책을 펴는 것이 아닐까요? 그것이 복지부가 해야할 일이라고 한다면 복지를 하느님의 손에 맡긴 김성이에게 하느님이 외치십니다. 오 마이 갓.

  • 유양종 4.00.00 00:00
    가족이 있든 없든 가족이 어떻게 구성되든 돌봄은 사회의 책무입니다. 돌봄 노동은 사회적 기능을 하는 데 돌봄 노동을 전통적 가족에 전적으로 전가하려는 태도에 오! 마이 갓!은 제가 보기에 상당히 온건한 비난입니다. 저는 저 찢어 죽일 놈! 육시를 할 놈! 옘병 할! 읔, 제가 아는 욕이 얼마 안되는 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고] 충북도당 임원 및 도당 대의원 후보등록 결과 충청북도당 2019.01.05 104520
공지 [공고] 충북도당 재선거 공고 및 후보등록서류 file 충청북도당 2018.12.24 107452
공지 [노동당 후원 안내] 노동당을 후원해 주세요 노동당 2017.11.08 191709
205 [동영상]대운하반대 은하철도999 1 file 민중장애인 2008.03.06 4210
204 당원 가입했습니다.. 박세진 2008.03.05 4109
203 4.9총선에서 민노당을 종북정당으로 낙인찍어 전면전을 펼쳐야 하는 이유 13 김규찬 2008.03.05 4592
202 생활 속 좌파의 의미 (메모) 4 원시 2008.03.05 5055
201 ▓공지 ▓경기도당 창당대회 1 뻐꾸기둥지 2008.03.05 3606
200 20명에게만 쏩니다. 5 file 좝파 2008.03.05 5298
199 심상정 의원의 패배주의인가 기득권인가? 8 평검사 2008.03.05 4226
198 [논쟁] 여론조사를 통해 본 민노당 위기 원인 이상규 2008.03.05 4203
197 안녕하십니까. 4 이상한 모자 2008.03.05 4483
196 진보신당의 농민부문을 건설합시다. 6 유양종 2008.03.05 4179
195 심상정 노회찬 의원은 즉시 민주노동당에서 탈당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노창극 2008.03.05 4629
194 가입인사 드립니다. 김모세 2008.03.05 3916
193 지랄하는 진보신당과 민주노동당 10 새롬이 2008.03.05 4925
192 '반자본주의는 사회주의'입니다. 2 송용원 2008.03.05 4126
191 (펌)남종석의 글/레디앙에서 퍼왔습니다. 6 이심산 2008.03.05 4804
190 진보신당 총선 후보 경력 게재 유감 3 신장식 2008.03.05 4926
» 김성이와 오마이갓! - 최현숙과 친구들의 첫번째 정치브리핑 1 최현숙 2008.03.05 4293
188 아~~ 알아냈어요.. 2 성남최씨 2008.03.05 4359
187 Re: 최현숙과 친구들이 평당원 동지들에게 인사드립니다. 2 좝파 2008.03.05 4045
186 상당히 늦은 3.2 대회 후기 - 결성선언문 토론이 드러낸 두 가지 문제점 1 웅얼거림 2008.03.05 3793
185 진보신당, 민노당 그리고 두서 없는 이야기들 1 웅얼거림 2008.03.05 4227
184 서민가계비 경감 프로젝트 - 의료편 : 연구제안/검토요청 사항 한가지... 6 이마쥬 2008.03.05 4135
183 [공지] 3월 9일(일) 진보신당 서울시당 창당대회 ^0^ 2 이봉화 2008.03.05 5159
182 최현숙과 친구들이 평당원 동지들에게 인사드립니다. 7 최현숙 2008.03.04 4575
181 새로운 진보정당은 진짜 새로와지려면, 문 좀 팍팍 엽시다 ~ 일하는 사람들 오게 하고 1 원시 2008.03.04 4229
180 노래문화 혁신 캠페인/ 창당대회때, 심상정 노회찬 애창곡 한 곡씩 직접 부르고 원시 2008.03.04 47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44 2945 2946 2947 2948 2949 2950 2951 2952 2953 ... 2956 Next
/ 2956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