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게시판

당원광장 / 당원게시판
조회 수 3343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먼저 저를 간단히 소개하면 저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배정학이라고 합니다. 3월 6일 진보신당 확대운영위에서 장애여성비례 1번, 비정규직 2번으로 우성 배정하기로 확정했다고 들었습니다. 그렇지만 이에 대해 여러 진보신당 당원분들이 재검토를 요청하는 입장을 밝히셨기에 이에 대한 제 의견을 밝히고자 합니다.

 

지금까지 많은 진보신당의 당원 분들의 입장은 “민주노동당에서 장애여성 1번, 비정규직 2번으로 했는데 민주노동당에서 우리가 정한 방침을 진보신당으로 입장이 바뀌었다고 바꿀 수 없고 그대로 가야 하는 것 아니냐”가 일반적인 정서였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이창우 동지는 “민주노동당이 장애인 여성과 비정규직을 상위순번으로 배치한 것은 민주노동당 스스로가 진보정당임을 의심받으면서 뭔가 강한 '자기 현시'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강박에 시달렸기 때문이 아닐까요? 그 결과 스스로 정치적 자승자박의 길을 걸어간 것이라고 해석하면 무리일까요?”라고 하셨습니다.

 

“민주노동당에서 했으니 진보신당에서 그대로 가야한다”의 입장을 먼저 살피면 그리 틀린 말은 아니지만 장애여성을 1번, 비정규직을 2번으로 해야 하는 정당성이나 시대적 요구가 민주노동당에서부터 내부의 충분함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한 원인에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이걸 감안했다면 진보신당에서 장애여성 1번 비정규직을 2번으로 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단지 민주노동당에서 했으니 진보신당에서 그대로 받아야 한다가 아니라 더 상위의 논리적 근거로 당원들을 설득할 수 있어야 했음에도 그러지 못한 것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것입니다.

 

아쉬움이 남는다는 것은 이창우 동지의 표현처럼 비례할당을 정할 때의 민주노동당의 한계가 “자기 현시”나 “강박” “자승자박”을 낳을 수 밖에 없었다는 것입니다. 비정규직 투쟁에 민주노동당이 전당적으로 투신하지 못한 진보정당의 죄책감, 사회적 소수자인 장애인 운동에 대해서 사실상 장애인 당사자들의 입장을 전면적으로 대변하지 못한 죄책감, 노동과 농민 할당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한 고육지책에서 장애비례할당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결과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단지 자기현시나 정치적 자승자박이라는 말로 지금의 장애여성1번 비례, 비정규직 2번 할당에만 문제를 떠넘길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저는 지금의 시점에서 더 중요한 것은 장애와 비정규직 우선 배정과 진보신당을 대변하는 유능한 일꾼중 누가 더 진보신당에 유리한가의 논쟁으로만 비례후보 추천을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만약 이런 식으로 논쟁이 되면 이건 역시 진보신당이 총선에서 유의미한 세력이 되기 위한 ‘자기현시’나 ‘정치적 자승자박’으로 귀결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장애비례1번, 비정규직 2번 우선배정이든 기타 다른 부문의 전략공천이든 진정 중요한 것은 많은 진보신당 당원들이 우려하는 검증 없는 명망가들만의 배정이나 공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진보신당내의 검증 시스템이나 아래로부터의 광범위한 의견 수렴을 거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선 배정받은 후보이든지 아니면 전략공천 받은 후보이든지 진보신당의 정체성에 맞는 후보인가, 진보신당의 얼굴로 이명박 정권과 맞 싸울 수 있는 후보인가, 부문의 이익만 대변하는 후보가 아닌 진보신당의 얼굴로 이명박 정권에 의해 고통 받는 민중들을 위해 싸울 수 있는 후보인가를 진보신당 모든 당원들로부터 광범위한 동의를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충실히 제공하는 것입니다. 경력만 보고 후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로로 후보를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이것이 가능하다면 장애여성이 1번, 비정규직이 2번이 아니라 유능한 명망가나 일꾼을 뽑아야 한다는 논리는 그리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러한 방향으로 진보신당 당원들이 더 깊은 논쟁과 정보의 공유 속에서 진보신당에 맞는 후보를 뽑을 수 있을 것입니다.

  • 살아있는전설 4.00.00 00:00
    이창우 그양반이 장애인인데요.....부산사람들 대부분..장애인인줄 몰라요...ㅋㅋㅋㅋ 걍 다리절고다니는 사람으로 생각하지..ㅋㅋㅋㅋ 우찌 우찌..소개하는 자리에서 장애인 소리 나오니...다들..맞냐고 ? 오데가 장애냐고 ? 할정도지요... 전 그렇게 생각해요... 장애인이다 뭐다 내세우는거....참으로 쪽팔리는 것이라고.... 장애인이나..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관점이 무의식 의식적으로...있다 보니..돼려 ..자격지심에.... 앞에다 내세워....생색내려는...꼴이라고 봐요... 오해 하지말고 들어 보세요..... 사람 이창우의 이바구를......찬찬히들어 보세요.... 나와 또다른 사람과...별다른차이없는데.. 그양반을 장애인이다 뭐다 해서... 예우하고..챙기면... 아마 그양반한테....4B연필로..똥침 맞을 겝니다.....무시하냐고..ㅋㅋㅋ 그것은.... 평소에... 차별적 개념을 초월한 사람이라 보기에 제가 그렇게 생각 하는 것입니다... 하여...진보신당도.....장애인이다 뭐다.. 국민들과....소수자들에게....엉거주춤..생색내기 보다... 지대로 됀 ..정책 맹글어... 관철시키는 것이 똑 바른 것이라 생각 합니다... 참... 그양반...비래대표 하라카믄..할란가 ?? 근데..저는 꼭 추천 하고픈데....쩝...
  • 전재일 4.00.00 00:00
    장애인 비정규직 추천을 다양한 경로라 주장하시는 것은 억지입니다. 출신을 정해두지 않는 것이 다양성을 담보하는 방법아닌가요? 출신 또는 신분 하나만으로 비례대표 그냥 먹는게 오히려 비민주적이고, 경직된 제도입니다. 여러가지를 고려해 가장 능력있고 적절한 인물이 되어야하는 것이 당연한 것인데 언제가부터 장애인이 비례1번을 '독식'하게 되었습니다. 그것도 비례대표 1명 나올까 말까한 정당에서 조차... 지금 일꾼 하나 만들어내야하는 시점 아닙니까? 이대로 몇번 선거치르면 진보신당 국회의원은 전부 장애인 출신이겠군요. 막말로 능력있고 대중성있고 존경받는 인물이 나오더라도 장애인 아니면 진보신당에선 국회의원 못되는겁니다. 이게 정당한 제도입니까?
  • 박현 4.00.00 00:00
    독식이라는 표현은 과한거 같습니다. 2004년 총선 때...비례1번으로 장애인이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그 전 당에서 비례 1번과 2번을 장애, 비정규직으로 정했는데, 그때의 원칙이 지금은 적용되지 못하는 겁니까? 누구 말대로 비례 20석 이상 자신할 수 있는 지금의 신당 조건이라면 비례1번, 2번을 장애, 비정규직으로 정할 수 있는 겁니까? 비례 1번에 대해 독식이라는 표현은 너무 과한 거 같으며 장애, 비정규직로 비례를 세운 것은 아직까지 유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고] 충북도당 임원 및 도당 대의원 후보등록 결과 충청북도당 2019.01.05 106460
공지 [공고] 충북도당 재선거 공고 및 후보등록서류 file 충청북도당 2018.12.24 109735
공지 [노동당 후원 안내] 노동당을 후원해 주세요 노동당 2017.11.08 193760
283 [의견] 100명 여성 비례대표 후보 전격 공천 안 3 바보고향 2008.03.08 3595
282 국제 여성의 날 1백 주년 기념 행사 file 민중장애인 2008.03.07 3227
281 존경하는 이수호 위원장님에게 도봉박홍기 2008.03.07 2917
280 진보신당 연대회의 서울시당 창건을 축하 드립니다. 4 도봉박홍기 2008.03.07 3672
279 [잠시 메모] 노회찬, 심상정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시키기 위해서 몇가지 5 원시 2008.03.07 3801
278 기자 브리핑실 펼침막 시안 7 김세규 2008.03.07 3441
277 예비 후보자 명함시안 11 김세규 2008.03.07 4113
276 [지역구 차별화 전략2] 노회찬은 과연 쇼를 해낼 수 있을까? 13 원시 2008.03.07 3303
275 비례후보 추천 게시판이 열렸습니다. 1 관리자 2008.03.07 5768
274 비례대표는 21세기를 진보정치를 이끌 21명으로 1 장광열 2008.03.07 2956
273 [진보신당 차별화 전략] 지역구 후보 "라디오스타" 만들기 4가지 방법 8 원시 2008.03.07 3561
272 Re: 진보신당 지역구 후보에게 묻는다. 홍보 전략 5대 기치 1 원시 2008.03.07 3330
271 우리의 다정한 친구 김학규에게 힘을 모아주십시오! 2 심심이 2008.03.07 3210
270 [중1들의 일제고사 소감] “댁들은 우리가 얼마나 힘든지 몰라요” 관리자 2008.03.07 3439
269 김석준 대표를 비례대표로 만들자 7 냥이관리인 2008.03.07 3689
268 [펌]당규를 부정하며, 비상식적인이고 이중적인 행위를 하는 민주노동당 지도부에 분노한다. 1 김성재 2008.03.07 3226
267 비례대표 윤종훈 회계사 같은 분은 어떤가요. 1 태민아빠 2008.03.07 3588
» 이창우 동지의 비례대표 추천 의견에 대해 3 배정학 2008.03.07 3343
265 오늘 4명의 직장동료들을 당원으로...... 6 아그람쥐 2008.03.07 4140
264 [초청-3/12] 초록과 진보의 새로운 정당을 위한 집담회 이강준 2008.03.07 2731
263 다음블로그뉴스 종합베스트 1위 7 민생경제본부 2008.03.07 4394
262 [진보신당] 녹색비례대표를 추천해 주세요 2 이강준 2008.03.07 3196
261 Re: 다함께든 주사파든 간에 2 좝파 2008.03.07 3557
260 비례대표 구성에서 무엇이 중요한가 2 좝파 2008.03.07 3385
259 Re: 고민해결 ^.^ 2 김규찬 2008.03.07 3312
258 가입 관련 1 허성호 2008.03.07 35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41 2942 2943 2944 2945 2946 2947 2948 2949 2950 ... 2956 Next
/ 2956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