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 정외과 이성형 교수가 어처구니 없는 이유로 재임용인지, 신규 임용인지에서 탈락했다고 하더군요.
탈락 이유가 걸작입니다. "해외 학술지에 논문 게재를 하지 않았다." 아니 그럼 이성형 교수가 국내 학술지에 지난 3년 간 게재한 10편의 논문은 아무런 가치가 없다는 것입니까?
우리 나라에서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를 모두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학자가 몇이나 된다고 저러는 지 참... 어이가 없군요.
아래 다음 아고라 주소로 가면 이성형 교수 복직 서명운동 폴이 나옵니다.
이성형 교수 복직 서명에 많이 동참해 주세요.
http://agora.media.daum.net/petition/view?id=38854
참고 자료
[단독]이대, 재임용 고무줄 잣대 논란
|
●중남미 비교정치 대표 학자로 꼽혀
이화여대는 최근 중남미 비교정치학계의 대표학자로 꼽히는 정치외교학과 이성형(49) 교수를 석연치 않은 이유로 재임용 심사에서 탈락시킨 것으로 4일 확인됐다. 이대는 계약직 교수도 계약 만료 전 재임용 절차를 거쳐야 하는 교직원법을 지키지 않고 이 교수에게 신규 임용 심사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재임용을 하지 않았다.2005년 3월부터 3년제 계약으로 근무하고 있던 이 교수는 교육부에 소청심사를 냈으며, 오는 4∼5월쯤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이대 측은 임용 탈락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
서울신문이 학술진흥재단 통합연구인력정보에서 확인한 결과 이 교수는 1990년 이후 모두 35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교수로 임용된 뒤에도 3년 동안 모두 10편의 논문을 게재하는 등 비교적 활발한 연구활동 업적을 쌓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 교수가 정치외교학과에선 전국에 4곳밖에 없는 BK21 사업의 이대 유치에도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학계는 교수 재임용 심사 강화로 나타난 부작용의 대표적인 사례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 교수가 속한 정치학회는 서명운동에 돌입했으며,250여명의 교수가 동참했다. 비판사회학회 소속 학자 30여명도 항의 서명운동에 나섰다.
신광영 비판사회학회장(중앙대 사회학과)은 “이 교수는 중남미 정치학의 대표 학자인 데다 강의평가에서도 정외과 내에서 3년 연속 1위를 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연구업적이 모자란 학자들이 교수직을 맡는 건 문제가 있지만 이 교수 같은 학자의 탈락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치학회의 한 교수는 “이대 측이 해외에서 딴 학위가 없고 영어 논문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들어 임용에서 탈락시킨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정치학회 교수 250여명 항의서명 등 반발
교수들은 일부 대학이 기준은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채 재임용을 교수 처벌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의 한 사립대 H교수는 “교수들의 지위는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대학들이 재임용을 마음에 들지 않는 교수들의 처벌 수단으로만 쓴 사례가 종종 있었다.”면서 “적법 절차에 따라 재임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강제성 있는 제도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대학들이 환경 개선 없이 연구 성과만 높이라고 요구한다는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중앙대는 최근 정교수가 매년 받는 승급 심사에서 교수 1인당 제출 논문 수를 최고 현재의 80%까지 높이라고 요구하는 심사 기준안을 지난달 말 통과시켰다. 서울의 한 사립대 P교수는 “연구 환경은 열악한데 심사 기준만 미국식으로 따라가면 문제가 있다.”면서 “엄격한 평가는 찬성하지만 연구 여건을 만들어 줘야 하며 탈락이 아닌 연구 경쟁력 강화의 기회를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훈 서재희기자 nomad@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