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간의
디자인 정책, '모두를 위한 디자인'이라는 틀로 재평가해봐야
이틀의
일정으로 진행된 세계디자인 도시서미트가 오늘 마무리된다. 진보신당 서울시당은 서미트의 개막에 맞춘 논평을 통해 '사람을 위한 디자인'을 주장한
바 있다.(논평전문:http://seoul.newjinbo.org/zbxe/46545#0)
그리고 오늘 발표될 서울디자인도시선언문의
주요 골자에서 모두를 위한 디자인, 삶을 풍요롭게 하는 디자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디자인을 밝힌 것을 환영한다. 문제는 글의 이면에 있는
현실문제다.
진보신당 서울시당은 서울시가 그동안 디자인정책이라는 명목으로 실행했던 디자인거리조성사업,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건립사업,
해치를 통한 서울상징 홍보, 가로판매대 디자인 교체 등에서 과연 그런 디자인의 가치들을 구현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한
도시의 디자인은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인문적 환경을 반영하는 거울이다. 다시 말해 그저 보기 좋은 것들로 치장한다고 해서 그것을 '우리'의
디자인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시디자인은 참여를 통한 합의, 합의를 통한 개선이라는 점진적인 변화가 바람직하다. 인문적
관습이 한 순간에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바로 이점이 산업디자인과 도시디자인의 차이다. 산업디자인은 혁신 자체가 소비자에게 소구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니지만, 도시디자인의 경우에는 다수의 시민을 소외시킨다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명문대 교수가 사업을 진행한다고 해서,
산업디자인업체에서 작업을 했다고 해서 그것이 바로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에 걸맞는 옷일 수 없다. 서울시가 이와 같은 기본적인 관점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서울시의 디자인사업은 그저 '성형수술'에 불과할 것이다.
따라서 진보신당 서울시당이 어제 논평을 통해 밝힌 것과 같이,
지난 2년간의 디자인사업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잘된 점과 문제점이 있었는지 제대로 평가를 해야한다. 서울시로서는 올해 모든 사업을
마무리하고 하자고 하겠지만, 지난 기간 동안 단 차례라도 서울시의 디자인정책에 대한 공개적인 평가가 진행된 적이 있었는가.
시민들과 분리된 채 진행된 서울시의 디자인정책은, 오늘 발표되는 '서울디자인도시선언문'을 공허한 정치적 수사로 가득찬 말들로
전락케할 것이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