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운하는 아마 송영길의 무덤이 될 것
침묵하는 민주당과 송영길 의원,
이제 그 입을 열고 경인운하에 대한 입장을 밝혀라!!
지난 3월 22일 경인운하백지화수도권공동대책위원회는(이하 경인운하백지화공대위) 민주당과 송영길의원에게 경인운하사업 추진에 대하여 공개질의서를 통해 분명한 입장을 밝혀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10일이 지나도록 송영길의원과 민주당 양측 다 그 어떠한 의견도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다. 또한 경인운하백지화공대위의 전화확인에도 답을 주지 않고 통화를 회피하고 있다.
경인운하는 그 자체가 이미 당위성이 없는 사업으로 명명백백하게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일방적인 사업추진으로 졸속 진행되고 있으며, 송영길의원은 이를 자신의 정치적 야망을 달성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민주당이 4대강 사업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도 경인운하에 대해선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은 송영길의원을 감싸주기 위한 행태로밖에 생각되지 않는다. 지난 3월 30일 보도에 따르면 민주당 송영길 최고위원이 4월 국회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게 됐다고 한다. 이를 두고 정계에서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인천시장 선거 전략공천설이 나오는 송 최고위원을 띄우기 위해 민주당이 배려한 것이란 설명과 함께 송 최고위원이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는 것 자체를 인천시장 출마선언으로 봐야 한다는 말도 나온다. 이는 민주당이 스스로 세운 당론을 버리고 눈에 뻔히 보이는 정치적 이익을 선택한 것이다.
이에 경인운하백지화공대위는 다시 한 번 민주당과 송영길의원에게 경인운하에 대한 공개적인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하며, 그간의 잘못된 판단에 대해선 국민 앞에 분명한 자세로 나아가 사죄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송영길의원은 6월 지방선거 인천시장후보 출마포기를 공식적으로 선언하고, 인천시민들과 국민들을 볼모로 자행하고 있는 기만적 행태를 당장 멈추어야 할 것이다.
2010년 04월 01일
경인운하백지화 수도권공동대책위원회
*
한겨레 2010-04-02
[사설] 4대강 사업 위험성 보여준 경인운하 공사장 붕괴
서해와 한강을 연결하는 경인아라뱃길(경인운하) 공사장의 도로 둑이 불과 12.5㎜의 비에 무너졌다. 땅에 박아놓은 철근 파일이 비와 흙의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져 내렸다. 이곳은 컨테이너 부두가 들어설 장소여서 한쪽은 바다, 반대쪽은 운하 구간이었다. 큰 피해는 없었으나 사고가 조금만 더 컸다면 바닷물이 쏟아져 들어와 대형사고로 이어질 뻔했다.
크지 않은 사고지만 가볍게 넘길 수 없다. 4대강 사업을 하느라 전국 곳곳에 위험한 공사장이 널려 있기 때문이다. 아라뱃길은 물이 흐르는 강이 아니어서 공사가 그다지 어렵지 않다. 그런데도 비 몇 ㎜에 무너져 내렸다. 정작 걱정되는 곳은 4대강 구간이다. 강물이 흐르는 상태에서 준설하고 보를 설치하는 게 공사의 핵심이다. 두세달 뒤 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되면 언제 어디서 무슨 사고가 터질지 모른다. 시한폭탄이나 다름없다.
정부는 장마가 오기 전에 4대강 보 건설 구간의 가물막이 댐을 철거하고 둔치에 임시로 쌓아둔 준설토를 하천 밖으로 빼낸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또 침수지와 오탁방지막으로 흙탕물을 걸러낼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말대로 될지 걱정이다. 여름철 비는 양이 많을 뿐 아니라 시기를 예측하기 어렵다. 때맞춰 준설토를 빼낼 수 없을뿐더러, 이 경우 준설토가 그대로 쓸려내려갈 수밖에 없다. 자칫하면 4대강 전체가 황톳물로 변할 판이다. 게다가 집중호우가 오거나 태풍이 밀어닥치면 언제 어디서 둑이 무너질지 모른다. 평상시에도 위험한 마당에 곳곳을 헤집거나 막아놓고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너무 안이하다.
가장 큰 문제는 4대강 공사를 내년까지 완공한다는 목표 아래 강 전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공사를 진행하는 점이다. 4대강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큰비가 올 경우 홍수가 날 위험이 상존한다. 굳이 공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하더라도 단계적으로 해야 마땅하다. 무리한 공사는 필연적으로 부실공사를 수반하기 마련이다. 책상머리에서 홍수 대책을 세운다고 될 일이 아니다.
이번 경인운하 사고는 이명박 정부가 마구잡이로 밀어붙이는 다른 대규모 공사들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아닐 수 없다. 대형사고를 치르고 나서 뒤늦게 허둥대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 무리한 4대강 사업을 지금이라도 전면 재검토해야 할 까닭이다. (*)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