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자리 만들기 위해 행사 줄여 450억원 마련?
서울시가
'일자리창출 특별시행예산'을 편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4만 5천여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일자리는 상반기 일자리 사업이 끝나는
하반기에 맞춰 편성되었다.
이중 공공일자리 1만5200개는 상반기에 끝나는 희망근로 일자리 1만6797개를 대체하는 것이어서,
사실상 단기 일자리만들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이다. 그리고 9000개의 일자리를 자치구에서, 3700개의 일자리를 산하기관에서 마련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나머지는 소상공인기업 지원 사업으로 민간에서 1만6750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서울시가
자체적인 노력을 통해 만들어지는 일자리는 결국, 상반기에 끝나는 희망근로 일자리 대체용 1만5200개에 불과한 것이다. 나머진 자치구와
산하기관이 스스로 예산을 줄여 만들어야 한다. 그야말로 공염불이다. 산술적으로 보자면, 이번 발표로 신규 창출되는 일자리는 거의 '제로'에
가깝다. "일자리정책이야 말로 최고의 복지정책"이라고 말했던 오세훈 시장의 말에 비추어 보면, 서울시의 복지정책은 여전히 땜방식 처방에 머물고
있다는 증거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사업예산의 마련방식이다. 서울시는 필요한 예산 1천8백억원 중 570억원은 사업비 조정을
통해서 마련하고 450억원은 축제성/행사성 경비를 절감해서 마련한다고 밝혔다. 재미있게도 줄일 수 있는 축제성/행사성 경비가 450억원이나
되었다는 것을 자인한 꼴이다.
예산이 없다는 둥 핑계를 댔지만, 그리고 잇따른 홍보성 예산 지역에 대해 '시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변명을 해댔지만 결국 당장 줄일 수 있는 예산이 450억원이나 된다는 것을 스스로 고백한 것이다. 그렇다면, 적어도 매년
450억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인데 오세훈 시장의 임기기간동안만 따져도 지난 4년 동안 1800억원의 예산을 줄일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게라도 해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성의는 인정하나, 그보다 중요한 것은 지금 당장 줄일 수 있는 예산이 또 뭐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지 않을까 한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