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조회 수 26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정희 닮은 서울시의 '디자인 행정'…"사실상 '문화 테러'"

[토론회] '디자인 도시' 서울, 어디로 가고 있나?

기사입력 2009-10-28 오전 9:56:02

수도 서울이 '깔끔'해지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취임 이후 공격적으로 추진된 각종 '디자인 사업'으로 도시 경관은 하루가 다르게 바뀌고 있다.

거리 미관을 확보한다며 추진된 '디자인 거리 조성 사업'으로 노점상은 철거돼 골목 구석으로 밀려났고, 한강 르네상스 사업으로 사라진 한강 둔치의 매점 자리엔 깔끔한 대기업 편의점이 들어섰다. '도시 경관을 고려해 가급적 튀지 않게 디자인했다'는 시의 신형 가로판매대는 서울시의 광고판으로 전락했다. 국내 최초의 근대 체육 시설인 동대문운동장도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조성으로 철거됐다.

서울시는 2007년 '디자인 서울 총괄 본부'를 만드는 등, 광역자치단체로는 최초로 디자인을 행정에 접목시켰다. 서울 디자인 올림픽, 남산르네상스 사업,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조성 등 각종 디자인 사업이 공격적으로 추진됐다. 그러나 서울 곳곳에서 엄청난 예산을 투여하며 진행되는 이 사업들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충분한 검토와 내용없이 진행되는 '디자인 행정'은 오히려 문화를 획일화하고 지역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담아내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디자인 도시' 서울의 현주소를 점검하는 자리가 2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예술촌에서 열렸다. 문화연대와 진보신당 서울시당은 '문화 도시 서울, 어디로 가고 있나?'라는 제목의 토론회를 열고, 서울시의 문화 정책이 가지고 있는 한계 및 공공 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짚어봤다.

▲ 문화연대와 진보신당 서울시당은 2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에서 '문화도시 서울, 어디로 가고 있나?'라는 제목의 토론회를 열고 서울시의 디자인 정책의 문제점을 짚어봤다. ⓒ프레시안

"관 주도 획일적인 디자인은 문화를 도구화할 뿐"

발제를 맡은 김상철 진보신당 서울시당 정책기획국장은 서울시의 디자인 정책을 "과거의 기계적인 정비 사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디자인 거리 조성 사업을 비롯해 시가 추진하는 디자인 사업 대부분이 외관만을 신경 쓴 '보여주기 식' 사업으로 진행돼, 정작 시민들의 참여와 창조성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 국장은 "서울시는 '하드 시티'에서 '소프트 시티'의 전환을 강조했지만, 사실상 서울시는 하드시티의 방법론으로 문화·디자인을 채택했을 뿐"이라며 "서울시가 채택하는 디자인 정책은 인간 중심이라기보다는 기능과 효율을 중시하는 하드시티에 걸 맞는 하드디자인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또 "오세훈 시장의 디자인 행정 속에는 '브랜드화', '경쟁력'이라는 몇 개의 키워드만이 자리 잡고 있을 뿐"이라며 "공공 디자인의 기본은 시민들의 참여인데, (시의 디자인 행정은) 시민을 끊임없이 객체화시켜 도시의 창조성을 키우기는커녕 소멸시키는 '문화 테러'에 가깝다"고 혹평했다.

▲ 서울시의 신형 가로판매대 모습. ⓒ서울시 디자인총괄본부
▲ 간판 개선 사업 이전과 이후 모습. ⓒ서울시 디자인총괄본부

시의 획일적인 디자인관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예술과도시사회연구소 김강 연구원은 "낙후돼 보이는 것, 보다 덜 세련되었다고 생각되는 곳이면 어디나 포클레인의 삽날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 서울의 현재"라며 "서울의 경관 어디에나 서려있는 기억과 문화는 안중에도 없이 서울시는 그럴듯한 건축 설계와 디자인으로 서울을 재개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개발 논리의 도구로 전락한 문화와 예술은 공공의 시선 안에서 또다시 '규격화'되기 마련"이라며 "그들이 호명하는 '예술'은 정치의 노예로서의 '예술'일 뿐이며, 이 때 인간의 창의력은 식민화된다"고 지적했다.

"무차별적 '재개발'이 아닌, 지역 공동체 속의 '도시 재생'으로"

김강 연구위원은 서울 문래동 철공단지에 구성되고 있는 '예술 창작촌'을 시민들의 자율적인 문화 도시 사업으로 꼽았다. 2000년대 초반부터 철공단지의 빈 사무실에 젊은 예술가들이 작업실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문래동은 점차 철공과 예술이 공존하는 창작촌으로 변해가고 있다.

옥상미술관 프로젝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철공 워크샵 등 여러 프로젝트가 일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이곳의 사례는 낙후된 철공단지를 '재개발' 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과 철공의 조화로 도시를 '재생'하기 위한 하나의 실험으로 평가받는다.

김 연구위원은 "이제 문래동의 예술가들은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도시에서의 삶을 위해 지역 공동체에 조금씩 다가서고 있다"며 "서울시가 표방하는 '창조 도시' 만들기가 경관적 풍경의 세련된 전환이 아니라, 서울시민의 삶을 아우르며 진행되는 것이라는 내용적 증거를 위해서라도 문래동 실험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재래산업으로 여겨지는 철공노동과 예술노동이 진정으로 어우러져 도시 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하는 것, 그것이야 말로 진정한 문화예술을 통한 '도시 재생'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박정훈 사회공공연구소 연구위원은 멕시코의 도시 과나후아토의 사례를 들며 "16~17세기 금광 도시로 부흥했던 과나후아토는 19세기 들어 침체를 겪지만, 그 도시의 한 대학 교수가 학생들을 데리고 거리 곳곳에서 연극 공연을 하면서 도시의 축제와 예술이 다시 꽃피기 시작했다"며 "라틴아메리카의 문화 도시들은 관 주도가 아니라 민간 주도로 활성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위원은 이어 "무너진 서울시민의 지역 공동체를 어떻게 복원시키느냐가 '자생적 문화 도시론'의 핵심"이라며 "그러나 지금의 서울시의 문화 도시 프로젝트는, 외국인들에게 자랑스럽게 보여주고 전시하기 위한, 마치 박정희 정권 당시의 농촌 가꾸기 사업으로 회귀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선명수 기자 메일보내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9 관악 '돈주고 상받기' 주민소송[연합] 서울시당 2009.10.21 2306
408 '상과 맞바꾼 혈세' 되찾는다[한겨레] 서울시당 2009.10.21 2551
407 [동영상]선택진료비 피해증언[헬스코리아] file 서울시당 2009.10.22 2638
406 동상이몽 민주대연합 ①[시사인] 서울시당 2009.10.23 2589
405 동상이몽 민주대연합 ②[시사인] 서울시당 2009.10.23 2571
404 서울시당 무상접종 주장[경제투데이] 서울시당 2009.10.26 2434
403 "백신접종비 국민에 전가"[헬스코리아로그] 5 서울시당 2009.10.26 2702
» '디자인 도시' 서울, 어디로 가나?[프레시안] 서울시당 2009.10.28 2683
401 " 부정부패 공정택 당선무효형 환영"[오마이] 6 서울시당 2009.10.30 3167
400 국민 71% 신종플루 확진검사비 “국가 부담해야” [국민] 서울시당 2009.10.30 2297
399 "신종플루 검진비 국가부담" 71% 서울시당 2009.10.30 2256
398 진보신당 “내년 신종플루예산 6천억 증액해야” [국민] 서울시당 2009.11.05 2302
397 [커버스토리]취약계층에 대한 대책은 있나[경향W]] 서울시당 2009.11.05 2227
396 돈 없으면 신종플루 걸려야 하나? [오마이] 서울시당 2009.11.05 2368
395 진보신당 "신종플루 예산 6천억원 증액해야"[메디컬투데이] 서울시당 2009.11.06 2327
394 전염병이 개인의 질병인가 [한겨레21] 84 서울시당 2009.11.06 4884
393 "신종플루 예산 10배 늘려라"[레디앙] 서울시당 2009.11.07 2377
392 목소리 커지는 '진보연합', 잘 될까?[레디앙] 서울시당 2009.11.07 2289
391 진보양당 서울위원장 회동, 뭔 얘기?[레디앙] 서울시당 2009.11.07 2264
390 [좌담 ①] "진보 서울시장 논의테이블 필수"[레디앙] 서울시당 2009.11.12 2386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