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공짜 무선인터넷은 대세"... 정부-이통사도 '인정'
정부 "공공기관 와이파이 개방 검토"... 이통사 "반대할 이유 없어"
김시연 (staright) 기자
  
와이파이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늘면서, 사업자들도 와이파이 망 확대에 나서고 있다.
ⓒ 유성호
아이폰

"와이파이(Wi-Fi, 무선랜) 망 확대는 이미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와이파이 망을 통한 '공짜 무선인터넷' 확대가 지방선거 이슈로까지 떠오른 가운데 정부와 통신 사업자들도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현재 기존 이동통신사 3G망을 통한 무선데이터 접속 요금은 1MB당 2600원 정도(KT 기준)에 달해 대부분 무선인터넷 이용자들은 비싼 정액 요금제를 쓰고 있다. 그나마 대도시는 업무 지구나 주택가에 와이파이 망에 접속할 수 있는 사설 AP(무선공유기)가 비교적 많이 깔려있지만 구역이 한정돼 있고, 지방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다. 

 

이에 지난 12일 노회찬 진보신당 대표는 "서울시장에 취임하면 100일 이내 버스-지하철역에 움직이는 핫스팟 존을 만들겠다"며 '무료 무선인터넷'을 지방선거 쟁점으로 내놓았다. 

 

'무선 랜' 연구자인 권영선 카이스트 경영과학과 교수 역시 지난 20일 <오마이뉴스> 인터뷰에서 무선인터넷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 무선 랜을 일반에 개방하고 무선공유기를 허용해 공짜 무선인터넷 사용가능지역(핫스팟 존)을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공공기관, 학교 등 전국 3만여 AP 일반 개방 검토"

      

이에 정부에서도 무선인터넷 활성화 차원에서 전국 공공기관과 학교 와이파이 망을 일반에 공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국가 IT 인프라를 담당하는 한 정부 산하기관 관계자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자체마다 와이파이 망 공개가 우후죽순으로 이뤄지고 있어 정부 차원에서 이를 전체적으로 조율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면서 "여기에는 통신 사업자들과 연계해 와이파이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전국 3만 개 정도인 공공기관과 학교 AP(무선공유기)를 일반에 개방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통신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방송통신위원회는 아직 조심스런 입장이다. 허성욱 방통위 네트워크기획보호과장은 "와이파이는 지난 11월경부터 준비해온 광대역 무선망 확대라는 큰 마스터플랜의 일부일 뿐"이라며 "공공기관 와이파이 망 개방과 같이 구체적인 사업을 논의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통신 사업자가 이미 와이파이 망을 깔고 있는 대도시까지 국가 예산을 들일 필요는 없다"면서도 "사업자가 기피하는 지역엔 공공기관에서 한다든지 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거나 정부-지자체-사업자간 시범 사업을 진행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통사 "와이파이 확대는 대세"-"투자 비용 간과" 입장 엇갈려

 

  
일부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은 와이파이 존이 아니면 아예 작동하지 않는다.
와이파이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와이파이 망 확대가 '대세'라는 데는 인식을 같이 하고 있지만 기존 공공기관이나 사설 AP 개방에 대해선 회사마다 이해관계가 조금씩 엇갈리고 있다.

 

와이파이 망 확대에 가장 적극적인 건 '가진 게 없는' SK텔레콤이다. 하성민 SK텔레콤 이동통신사업부문(MNO CIC) 사장은 지난 1월 14일 무선인터넷 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올해부터 T멤버십 제휴 매장이나 공공장소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와이파이 망을 구축하고, 무선인터넷 무료 접속을 허용하는 '오픈 AP 정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30일 SK텔레콤 홍보팀 관계자는 "와이파이 망을 개방해야 한다는 입장은 변함없지만 구체적인 투자 계획은 아직 나와 있지 않다"면서 "와이파이 확대 시 3G 망을 통한 이통사 수익 감소가 예상되지만 현재 고객의 욕구를 막을 수는 없다"고 밝혔다.

 

통합LG텔레콤은 한 발 더 나아가 와이파이 기반인 기존 인터넷전화(VoIP) 망인 myLG070 AP를 다른 모바일 기기와 공유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정일재 LG텔레콤 퍼스널모바일사업본부 사장은 지난 11일 '오즈2.0 전략 발표회'에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휴대폰으로 와이파이에 쉽게 접속할 수 있게 하겠다"면서 "myLG070 하면서 깔아놨던 AP들을 임대형으로 전환하든지 여러 가지 방법들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LG텔레콤 홍보팀 관계자는 "가정용 AP 망을 포함해 유무선복합(FMC) 상품을 검토하고 있어 오는 6월 중 구체적 전략을 밝힐 계획"이라면서 "이통사로선 데이터 접속 수익이 감소할 수 있지만 대신 정보이용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반드시 수익이 줄어든다고 볼 수는 없다"고 밝혔다. 현재 LG텔레콤 인터넷전화 AP 망은 160만 개에 이르러, 이를 공유할 경우 핫스팟존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상대적으로 이미 1만 3천 개에 이르는 유료 와이파이 존 '네스팟' 서비스 운영하고 있는 KT는 와이파이 개방에 소극적이다. KT 홍보팀 관계자는 "와이파이 망 개방은 현행 법에 문제가 없다면 사업자로선 문제 제기할 수 없다"면서도 "무선공유기를 쓰더라도 트래픽이 폭증하면 사업자로선 기간망에 투자를 늘릴 수밖에 없는데 비용 부분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장 행정망을 이용하더라도 망 추가 설치비용이나 요금, 유지비 등을 공공기관이 부담할 수밖에 없어 곧 국민 부담으로 전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선공유기 금지' 약관과 보안 문제 걸림돌

 

  
기존 기업이나 가정용 인터넷전화 무선공유기(AP)를 공유할 경우 와이파이 존으로 활용할 수 있다. 지금도 일부 개방된 AP를 통해 와이파이 접속이 가능하다.
ⓒ 김시연
무선인터넷

현재 일반인들이 무선공유기를 이용해 와이파이를 공유하는 것이 불법은 아니지만 초고속인터넷업체에선 약관에서 이를 금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통신사와 가입자간에 마찰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 불특정 다수가 와이파이 망을 공유할 경우 해킹 등 보안 문제도 풀어야 할 숙제다. 

 

앞서 정부산하기관 관계자 역시 "공공기관 AP 개방 시 보안 문제 때문에 접속자들을 통합 관리할 아이디 체계 문제, 접속자 정보를 암호화하는 문제 등 실무적 문제가 남아 있다"고 밝혔다.

 

결국 공공기관 AP를 개방하더라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는 방식보다는 일종의 인증 과정을 거치겠다는 것으로 해석돼 '반쪽짜리' 공개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또 이 문제가 갑자기 정치권 쟁점으로 부각되면서 미리 사업을 준비해온 정책 실무자들도 부담을 느끼는 기색이 역력하다.

 

다만 '핫스팟 존' 확대에 가장 큰 걸림돌로 여겨졌던 정부와 통신 사업자들조차 적극성을 보이는 데다, 스마트폰, e-북, 태블릿PC 등 무선인터넷 수요는 계속 늘 전망이어서 '공짜 무선인터넷 시대'는 결국 시간문제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