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충남의 독립투사 모욕하는 건국 60년 기념행사 중단하라
[성명서]
충남의 독립투사 모욕하는 건국 60년 기념행사 중단하라!
다가오는 8월15일은 광복절 63주년이자 정부수립 60주년이 되는 날이다.
그러나 일부 친일 보수세력과 이명박 정부에 편승하는 이완구 충남도지사는 8.15 광복절의 의의를 희석시키고 ‘정부수립’을 ‘건국’으로 만들기 위해 오는 14일 ‘광복 63주년 건국 60년 기념 한여름 밤의 음악축제’를 개최하려 하고 있다. ‘숭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고 사대주의적 역사관으로 무장한 일부 보수세력과 이명박 정부의 반민족적 처사에 자치단체장이 장단을 맞추고 있다.
매년 치러오던 광복절 행사를 이명박 정부가 느닷없이 ‘건국기념일’로 바꾸려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친일 반민족 세력의 이념적 계승자인 뉴라이트 등 보수세력에게 광복은 기억하고 싶지 않은 날인 반면, 통일국가를 수립하려던 김구 선생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든 이승만의 남한 단독정부 수립은 ‘건국일’로 포장되어 광복절을 대체해야 할 기념일이다.
'건국절'을 처음 공론화 한 사람은 뉴라이트의 대표적 주자인 서울대 경제사학과 이영훈 교수다. 그는 2006년 7월 31일 <동아일보>에 <[동아광장/이영훈]우리도 건국절을 만들자>라는 글을 기고한 바 있다. 이영훈 교수가 누구인가. 종군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해 강제 동원된 것이 아니라는 둥의 망언을 일삼고 이른바 식민지 근대화론으로 일제시대를 긍정한 학자가 아닌가.
1948년의 정부수립을 건국일로 지정한다면 우리 한민족의 역사는 단절되고 왜곡될 수밖에 없다. 반만년 동안 이어져 온 한민족의 역사가 순식간에 60년 신생국 역사로 움츠러들고 1910년에서 1948년까지 38년에 걸친 민족역사가 단절되며 이 시기에 전개된 항일독립운동도 통째로 부정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존재는 유명무실해질 것이다. 일제에 의해 일시적으로 침탈된 주권국가를 되찾았다면 그날은 광복절이지 건국절이 될 수는 없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에 점령당했던 프랑스가 레지스탕스의 활약으로 해방을 쟁취했지만 결코 건국이라고는 하지 않았듯이 우리 대한민국의 광복도 마찬가지다.
헌법에도 그 전문에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였다”고 명시하고 있다.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정부의 새로운 출범을 축하하는 경축식에 내걸은 것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민축하식’이라는 대형 펼침막이었다. 당시 민족지도자들은 그 경축식을 ‘건국’으로서가 아니라 ‘정부 수립’으로 축하했다.
‘건국 60년 기념사업’에 대해 역사학자들과 시민사회의 항의가 빗발치자 정부는 슬그머니 뒤로 물러서는 척하고 있다. 8.15 광복절 기념행사 명칭을 ‘광복 63주년 및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경축식’으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정부의 태도는 조삼모사식의 기만책이다. 앞뒤 순서만 바뀌었을 뿐 여전히 ‘건국 60년’이란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건국이 1948년 8월15일에 이뤄졌다는 잘못된 인식에는 변화가 없다.
광복절을 굳이 ‘건국 60주년 기념행사’라는 이름을 내걸어 막대한 국민의 혈세를 투입하고 있는 것은 광복투쟁의 업적을 폄하하려고 하는 반민족적 역사관을 수용하면서 이승만 전 대통령을 축출한 4.19혁명의 역사적 의의를 부정하고 반민주적, 권위주의적 역사관을 정당화하는 행위에 다름 아니다.
더욱이 충남이 어느 곳인가. 암울한 일제 식민지 시대에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인 유관순, 윤봉길, 김좌진, 한용운 등을 배출한 지역 아닌가. 이완구 도지사의 ‘건국 60년 기념 한여름 밤의 음악축제’는 충남의 자랑인 독립투사들을 욕되게 하고 있다. 게다가 충청남도가 음악축제를 여는 장소가 다름 아닌 ‘유관순 체육관’이라는 점에서 할 말을 잃게 한다. 그야말로 독립투사들이 지하에서 통곡할 일이다.
진보신당 충남도당은 충청남도에 대해 건국 60년 기념행사를 즉각 폐기하고 종전과 같이 광복절을 전 도민의 환호 속에서 경축할 것을 촉구한다.
2008. 8. 12
진보신당 충남도당(위원장 안병일)
�충남 천안시 성정1동 693-3 신진빌딩 3층 �전화 041)578-0518
�new-jinbo@hanmail.net �http://cafe.daum.net/cnjinbo �정책국장 유종준: 016-418-5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