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충남도당 사업계획
[2015년 사업계획]
2014년 하반기 사업의 성과를 반영하여 기본사업과 전략사업을 구분, 병행하여 진행한다.
<핵심 사업기조>
- 도당 기초역량 강화 - 전략사업을 통한 도당의 대중적 기반 마련. - 도당의 대안적 전망제시를 위한 장기 전략사업 추진 - 2016년 총선에 대한 차분한 준비 |
Ⅰ. 당의 기초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
주요과제 | 1. 기초조직의 핵심의제 선정과 활동 지원 2. 당원배가 운동 및 당비 납부율 제고 3. 노동위원회 활동에 대한 적극적 지원 | |
사업계획 | 1. 기초조직의 핵심의제 선정과 활동 지원 | 가. 지역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특별위원회 강화 - 당협별 핵심 사업 선정과 전략과제 수립 나. 당협(준)이 건설되어있는 지역(천안, 당진, 홍성)의 활동지원 - 정기적인 선전, 홍보활동지원 다. 아산당협 건설에 대한 구체적 계획 및 지원 - 당원 소통공간 마련, 당원모임 지원, 운영단 구성 지원 라. 기타 지역에 대한 정기적인 당원 간담회 |
2. 당원배가 운동 및 당비 납부율 제고 | 가. 4월중 당비납부현황 등 기본 정보 공유 나. 이에 따른 도당, 당협, 당협미건설 지역에 대한 세부적 계획수립 | |
3. 노동위원회 활동에 대한 적극적 지원 | 가. 노동위원회와 적극 소통하여 사업계획 수립 나. 노동위원회 회원 확보를 위한 적극적 지원 다. 월 1회의 정기적 정치 캠페인, 분기별 세미나-강좌 지원 라. 노동위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조직적, 재정적 지원 |
Ⅱ. 도당의 대중적 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사업
* 위상 : 2014년 성과를 계승하여 조직적 정치적 성과 확보를 위한 총력집중.
* 함께 할 주체 : 알바노조, 충남비정규직지원센터, 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00캠프, 한뼘인권행동
주요과제 | 1. 농업-생태의제의 활성화를 위한 사업. 2. 정치의제 실천 사업 3. 전략조직화 및 강좌 사업 | ||
사업계획 | 1. 농업-생태의제의 활성화를 위한 사업 | 가. 당내 녹색, 생태의제에 관심있는 당원들 결집, 의제의 확산 나. 적정기술, (도시)농업 등을 주제로 한 다양한 활동. - 공동경작모임 | |
2. 정치의제화 사업 | 가. (청년)노동의제 : “최저임금 1만원, 노동자의 권리” - 거리 캠페인, 작은 문화제 등 다양한 길거리 정치 - 격월 1회 정기적 진행 나. 장애인 인권의제 : 이동권, 교육권, 자립생활권 투쟁 지지, 지원 - 한뼘인권행동, 장애인권네트워크 등과 긴밀한 연대 | ||
| 3. 전략조직화 및 강좌 사업 | 돌봄노동자조직화 지원사업 | - 노동위원회와 적극 협력 |
청년포럼 구성 | 늘사람 공간의 적극적 활용 - “책읽고 놀자”(책읽기와 보드게임 등 놀이의 결합) 가. 00캠프 자원활동가 포럼 지원 나. 알바노조 조합원, 비정규센터 회원 관계형성 | ||
정기적인 인권강좌 개최 | 가. 인권을 의제로 한 정기적인 강좌개최 | ||
대중(시민)강좌 개설 | 가. 정기적인 대중강좌 사업 : 바느질, 천연제품 만들기 나. 주제가 있는 공간 디스플레이 : 재활용, 천연재료 물품 전시 판매 |
Ⅲ. 운동의 대안적 전망제시를 위한 장기전략 사업
* 중-장기 전망을 위해 준비해야 하는 사업
* 핵과 석유에너지를 넘어서고, 삶을 생태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풀뿌리차원의 다양한 "실험의 정치"
주요과제 | 1. 녹색당 등 녹색 진영과의 지속적 교류 2. 협동조합운동에 관한 지속적 참여, 개입 전략 | |
사업계획 | 1. 녹색당 등 녹색 진영과의 지속적 교류 | 가 의제중심의 집담회, 잡담회, 토론회, 공동실천. 나. 녹색평론, 좌파 읽기모임을 통한 지속적 소통, 개입 |
2. 협동조합운동 참여, 지속적 개입 전략 | 가. 작은손 및 적정기술 연합회와의 교류 나. 00캠프 중심의 발달장애인 협동조합 등에 대한 개입 전략 수립 | |
3. 기본소득(운동)을 통한 전략적 전망의 수립 | 가. 당내 동의기반 확장을 위한 다양한 사업(강좌, 토론회 등) 나. 기본소득충남네트워크, 기본소득충남공동행동 등 적극 결합 다. 지역단체와 연대하여 기본소득강좌, 토론회, 학교 등의 개최 |
Ⅳ. 2016년 총선대응의 건
주요과제 | 1. 4월 정기운영위원회에서 총선기획팀 구성, 필요한 사업논의 2. 기획팀 등 활동을 위한 도당 예산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