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가산점 제도를 당리당략에 이용하지 마라
군 가산점 제도를 당리당략에 이용하지 마라
- 병역의무에 따른 박탈감을 이용해 젠더갈등을 일으키는 민주당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민주당에서 20대 남성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서 군 가산점 제도 부활, 남녀평등복무제 등 무책임한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모병제 전환 등 토론의 여지가 있는 사항도 있으나, 손쉽게 지지율을 만회하기 위한 정략적 발상이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지난 2007년에도 고조흥 의원 등 한나라당 의원 13명이 병역을 마친 사람이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학교 등의 채용시험을 볼 때 가산점을 주는 내용으로 병역법 개정안을 추진한 적이 있었다. 이제나 저제나 거대 보수 양당이 군 가산점 문제를 정략적으로만 접근하고 있다.
군 가산점 제도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 이후 이 문제는 젠더갈등을 유발하는 민감한 주제였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국방의 의무 과정에서 소중한 청춘의 한 시기를 빼앗기고, 인권유린 수준으로 심각하게 자유를 구속당하면서도 최저임금에 훨씬 못 미치는 대우를 받은 20대 남성의 박탈감은 가벼이 볼 사안은 아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의 판결 취지 역시 감안할 필요가 있다. 사회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이 있다고 해도 사회공동체의 다른 집단에게 동등하게 보장돼야 할 기회를 박탈하는 방법이어서는 안 된다.
인구구조의 변화와 군 구조개혁 등을 감안하면 모병제 전환 등에 대해서 장기적으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므로 차분하게 논의가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단기적으로는 현재 사병들의 급여를 현실화하거나, 제대군인에게 청년기초자산에 준하는 퇴직금을 지급하여 군 복무기간 동안의 기회상실에 대하여 보상하는 방법 등이 있을 것이다.
1999년 위헌결정이 난 군 가산점 제도는 제대 군인이 공무원 채용시험 등에 응시했을 때 가산점을 주는 내용이었고, 당시 7급 및 9급 공무원 공개채용시험을 준비 중이던 여성 5명과 신체장애가 있던 남성 1명이 이 제도가 헌법상 보장된 평등권과 공무담임권,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한 사안이었다.
우리 사회 공동체의 다른 사람들이 병역의무를 다한 사람의 사회복귀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부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눈 앞의 당리당략이 아니라 남북 군축 및 한반도 평화, 징병제 폐지 등의 방향을 세워 사회적 합의를 차분히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자.
2021.4.21.
노동당 대변인 이건수
-
[안내] 홈페이지 이전과 경기도당 연락처
-
사회주의-좌파세력의 공동선거대응과 결집을 준비하겠습니다
-
기후위기라고 쓰고 돈벌이라고 읽는 산림청을 해체하라
-
최저임금 대폭 인상하고, 손실보상법 당장 제정하라
-
해고 노동자 복직이 1호사건이란 말인가? - 공수처의 조희연 교육감 수사 착수 부적절하다
-
노동자를 상대로 전쟁을 벌이고 있는 자본과 보수 정치권
-
산업재해 사망자 감축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
군 가산점 제도를 당리당략에 이용하지 마라
-
일본 정부의 핵 오염수 해양방류 결정을 강력 규탄한다
-
[논평] 최저임금의 과감한 인상이 필요하다
-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서울시장배 뒤로 달리기 대회’입니까? - 나도원 부대표 모두발언
-
[논평] 최저임금의 과감한 인상이 필요하다
-
[논평] 미국 외교수장 토니 블링컨의 위험한 발언들
-
3·11 후쿠시마 핵폭발 10주년을 맞이하여 - 핵발전과 핵무기는 하나다. 모든 핵을 폐기하라
-
후쿠시마 10년, 헛소리와 ‘돈-사상’에서 벗어날 때입니다 - 나도원 부대표 모두 발언
-
아직도 우리에게 빵과 장미는 충분하지 않다 -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며
-
[논평] 미얀마 민중들의 민주화 투쟁에 연대와 찬사의 마음을 전한다
-
[논평] 또 다시 신규핵발전소 백지화 방침을 어긴 문재인 정부
-
투사의 삶을 돌아보며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
[논평] 해고노동자의 죽음의 행렬을 멈추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