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민주통합당은 밀실에서 상임위원장을 내정하는 비민주적인 행태를 중단하고 상임교육위원장 선출을 민주적이고 공정하게 추진하라!!
경기도의회 상임교육의원장 선출문제로 경기도 교육위원회가 파행을 맞고 있다. 총13명의 교육위원중 7명의 교육위원들이 민주통합당의 교육위원 선출방식에 대해 항의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였고 경기도지역 교육관련단체들의 입장이 발표되었다.
이번 경기도의회 상임교육위원장 선거는 전 교육위원장인 민주통합당의 박세혁위원장이 4.11총선에 출마하기 위하여 도의원을 사퇴해 공석이된 위원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총선출마를 위해 사퇴한 경기도 도의원 11명중 8명이 민주통합당 소속 도의원이다. 민주통합당 경기도당은 풀뿌리 지방자치를 외면하고 도민들이 선출해준 도의원직을 하루아침에 사퇴한 자당소속 도의원들의 풀뿌리 지방자치를 외면하는 행위에 대해 우선 책임있는 태도부터 보여야 한다.
이에 대해 진정성 있는 사과나 재발방지 대책도 없이 이번 교육상임위원장 선출과정에서 밀실 추천을 진행하고 다수당의 힘으로 위원장을 반드시 자당 소속으로 선출하겠다고 하는것은 대체 그들이 늘 비판하는 mb정권의 독단과 무엇이 다른가?
아무리 경기도의회의 다수당이 민주통합당 이라고 하여 상임위원장 선출을 사전에 해당 교육위원들과 충분한 논의없이 "전 상임위원장이 민주당 소속이었기 때문에 잔여임기도 당연히 민주당 의원이 맡아야 한다.“ 라고 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경기도의회가 민주적인 운영을 통해 도민들의 모범을 보여야 민주적인 지방자치를 발전시킬 수 있다. 민주통합당은 우선 상임위원장 선출과정에서 무조건 다수당의 밀실추천과 묻지마 투표를 통해 선출해온 그간의 관행부터 바꾸어야 한다.
자신이 위원장에 출마해 교육위원회를 어떻게 운영하겠다는 전문성있는 비젼과 계획을 발표하고 그간 의정활동 과정을 통해 신뢰를 획득한 인물이 동료 위원회 위원들부터 동의를 받는 과정이 있어야 이후에 위원회 운영도 민주적으로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민주통합당은 13명중 7명의 도의원들이 강력하게 반대하는 소리를 겸허히 듣고 교육상임위원장 선출과정의 파행을 조속히 해결하고 교육위원장 선출을 민주적으로 공정하게 진행하여야 한다.
그것이 경기도의회에서 원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정당으로 마땅히 해야할 경기도의회의 민주적 운영방법의 출발점이다.
2012년 2월 11일
진보신당 경기도당 / 진보신당 경기도의회 최재연 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