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7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ec9015613867f090fc34d4dd0f938743.png



“한국이 ‘1인당 국민소득 3만 불 시대’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극도로 심각한 빈부격차, 자산-소득격차로 인하여 현실과 동떨어진 통계상 수치에 불과할 뿐이다. 소득주도성장을 내건 문재인 정권이 들어선 이후에도 경기하강과 장기불황은 계속되고 있다. 신자유주의 한계상황을 증명하는 구조적인 현상이다. 기득권 기성 보수정치 중심의 정치선거제도는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 재벌지배 경제구조를 바꾸지 않는 한, 금융수탈 경제체제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 가짜정치를 뒤엎지 않는 한 망가진 수레바퀴, 죽음의 컨베이어벨트에서 탈출할 수 없다. 

경기도는 기본소득, 국토보유세 등 선도적인 정책의제를 제시하고 있는 이재명 지사와 더불어민주당이 아성을 구축하고 있다.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처지에 있으나 기본소득 이슈를 이재명 지사와 경기도가 선도하는 모양새이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과 기초자치단체장의 의정, 행정은 관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제3기 신도시 개발계획에 따라 과천, 남양주, 하남 등 경기도 곳곳에서 토지강제수용과 재개발에 따른 여파가 커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민주진보교육감을 자처하는 이재정 교육감의 교육행정은 비정규직 교육노동자들을 배타시함으로써 그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노동당은 불안정한 상황 속에 2018년을 경유하여 당을 재정비 중이고, 각 지역 및 의제당부의 활동력은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당원수가 가장 많은 수도권과 경기도당의 안정적인 활동이 절실하다. 또한 이러한 상태를 극복하면서 진보/대안정당 다자구도 속에서 맞게 될 2020년 총선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노동당과 경기도당에게는 체제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급진성을 내세우며, 다수 인민의 공감을 불러올 의제를 제시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좌파 입장에서 ‘포퓰리즘’을 제대로 정의하고, ‘노동’을 비정규직불안정노동으로 다시 잡아 세워야 한다. 보수정치 중심 속 진보정당 다자구도 돌파와 성장 모색은 진보/대안정당 모두에게 해당하는 정치현실이기에 연대연합은 선택사항이 아니며, 독자성을 유지하면서도 고립이 아닌 ‘효과적인 독자노선’을 모색해야 한다. 의제 면에서도 다른 정치인과 정당이 공유하고 있는 ‘기본소득’ 의제에 차별성을 제시하지 못하면 선도가 아닌 연대에 그칠 소지가 있으며, 경기도 전역에 영향을 미칠 ‘제3기 신도기 개발’ 등 주요 현안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그러므로 노동당 경기도당은 그간의 활동과 경험에 새로운 활동력을 보태면서 재벌해체, 기본소득 뿐만 아니라 사회주의 등 큰 틀의 지향을 내세우고, 당 안에서 여러 당부와 공동사업을 추진하는 동시에 당 밖에선 제 진보/대안정당과 교류와 협력을 추진한다. 선도적 의제를 내세우며 토지강제수용 등 지역 현안을 함께 파악하여 일상적으로 개입한다. 이를 통하여 당 조직을 확대하고, 당 정치력과 좌파-대안세력 지지기반을 함께 확대해갈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주제로 진행한 ‘지역정치학교’를 보다 심화된 내용, 다양한 강사진으로 계속 기획한다. 앞서 시도하여 당원들이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한 온라인생중계 토론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한다. 많은 당원들의 참여 속에 전통으로 자리 잡은 ‘별밤캠프’의 연속성을 확보한다. 당원들의 참여로 자리 잡은 정치문화웹진 <이음>(http://2-um.kr), 당원들의 자발성으로 시작한 팟캐스트 <뜨면깐다> 등 미디어를 성장시킨다. 노동당 인지도와 지지도 제고, 저마다 상황이 다른 당원들의 참여 공간 마련을 위한 시도이다. 

경기도당은 2016년 총선, 2018년 지방선거를 전 지역조직이 협력하는 선거로 만들어낸 바 있다. 상기한 사업들의 성과를 바탕으로 2020년 총선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돌파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간다. 경기도당에서 지역과 의제/지향을 대표할 후보를 가시화하여 하반기에는 본격적인 선거준비에 돌입한다. 이전 선거 시기보다 객관적으로는 역량이 커지기보다는 오히려 작아졌다고 할 수 있지만, 정당이 승부를 걸 수 있는 활동은 결국 선거이다. 지속적인 사업과 치열한 선거 준비를 통하여 죽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세상, 돈보다 생명이 중한 세상, 빼앗기지 않고 살 수 있는 세상, 사람과 사람이 평등한 세상을 향해 한걸음 더 나아갈 것이다.”

- 2019년 3월 23일, 노동당 경기도당 대의원대회


IMG_20190325_150015.jpg

IMG_20190325_173838.jpg

IMG_20190325_173843.jpg

IMG_20190325_150019.jpg


* 사진 설명
1), 4) 경기도당 붉은 깃발을 든 대의원들이 신입당원들을 중심으로 투쟁을 외치고 있습니다.
2), 3) 대의원대회 참가자들이 민중의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경기도당 2019 정기대의원대회 개최와 계획 채택 경기도당 2019.03.25 2727
310 아주 특별하고 감동있는 장학금 수여식 – 제5회 최인영장학회 열려 경기도당 2019.02.08 3424
309 나도원 위원장, 전국대리운전 노동조합 투쟁 결의대회 참석 -2018.12.03 file 경기도당 2018.12.04 3389
308 정치선거제도 개혁을 위한 노동당 전국행동의 날 file 경기도당 2018.11.30 3822
307 [경기도당] 제 3회 별밤캠프 file 경기도당 2018.07.16 3577
306 6.13 지방선거 경기도 군소정당 비례대표 방송토론 배제에 대한 노동당, 녹색당, 민중당, 우리미래 경기도의회 비례대표 후보자 긴급공동기자회견 file 경기도당 2018.06.07 3130
305 [지방선거 공약] 평등하고 아름다운 경기도를 위한 노동당의 약속 - 사람 살리는 기본소득, 복지 사각지대 없는 경기도 경기도당 2018.06.01 3657
304 노동당 경기도의회 비례 후보 8번 신지혜 후보, 도의원 김광원 후보, 청년유권자- 청년후보자 정책협약 기자회견, 최저임금 삭감법 반대 1인시위 file 경기도당 2018.05.29 3018
303 도의원 후보(수원시 5선거구) 김광원 선본 개소식 잘 마쳤습니다.-2018.05.25 file 경기도당 2018.05.28 3344
302 [경기도당] 노동당경기도의회 의원 신지혜 비례후보, 경기도 버스정책협약식에 참석-2018.05.24 file 경기도당 2018.05.25 3514
301 노동당경기도의회의원 신지혜 비례대표 후보등록을 마쳤습니다. 2018.05.24 file 경기도당 2018.05.25 3299
300 노동당 경기도당 제 7회 지방선거출마자 합동 기자회견 1 경기도당 2018.05.25 3301
299 박창수열사 추모제 - 2018.5.10 file 경기도당 2018.05.11 2962
298 선거연령하향 4월촉구 청소년 농성단 지지방문 및 피케팅 file 경기도당 2018.03.30 2884
297 3.17 노동당경기도당 2018 정기대의원대회 file 경기도당 2018.03.21 2739
296 [지역정치학교 4강] 일상의 자치, 주민들의 자치 file 경기도당 2017.12.06 3185
295 11.22 경기도당x서울시당 지역정치학교 3강 - 교통과 도로정책에 대한 노동당의 관점 file 경기도당 2017.11.24 2925
294 11.10 파이로, 고속로 1천억 예산 전액 삭감 및 실험폐기 촉구 기자회견 file 경기도당 2017.11.10 2943
293 11/2 촛불청소년인권법제정 경기연대 출범 기자회견 file 경기도당 2017.11.02 2997
292 10.28-29 제2회 별밤캠프 file 경기도당 2017.10.31 2790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