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쉬운 길이었다면 나서지도 않았을 사람들에게”

 


 

힘든 선거에 다양한 방법으로 힘을 보탠 당원동지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경기도당 선거의 책임자로서 허리 숙여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낡은 정치와 나쁜 경제를 바꿀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선거여야 했습니다. 부자들만의 경제, 밥그릇싸움과 정체불명으로 점철된 후진-정치에 균열을 낼 가능성을 보여주는 선거여야 했습니다. 그러나 결과는 패배였습니다. 이번 총선에서 노동당이 얻은 비례대표 전국 득표율은 2014년 지방선거에 비하여 1/3로 낮아졌으며, 경기도에선 1/2 수준에 그쳤습니다.

 

 

노동당 재창당 이후에도 지속된 진로논쟁과 일부 세력의 이탈 그리고 복수의 야당 등장으로 인하여 조건과 정세는 2년 전보다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새로운 대표단과 경기도당 집행부가 구성된 지 불과 6개월 만에 맞은 총선은 무척 힘든 싸움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더욱 절박함으로 나서야 했던 선거였습니다. 하지만 그 어떤 이유들에도 불구하고 손에 들려진 성적표는 무겁기만 합니다.

 

 

그러나 잊지 못할 장면들도 있었습니다. 경기도당의 출마지역 집중지원 방침에 따라 모든 당원협의회들이 동참하여 목표한 지원금을 달성했습니다. 당원협의회별 당원집중의 날을 운영하여 선거기간 내내 경기도 전역에서 당원들이 출마지역으로 모여들었고, 각 지역에선 14번 피켓을 들었습니다. 또한 당원들의 어린 자녀들부터 60대 신입당원에 이르기까지, 심지어 건강이 좋지 않은 당원들마저 몸을 아끼지 않은 장면들은 미안함과 감동을 함께 남겼습니다. 우리 동지들께서는 유례없이 진정한 선거-운동을 하셨습니다.

 

 

그리고 정의당 대표와 새누리당 후보 그리고 더불어민주당 후보 등 강한 상대들과 맞붙은 4자 구도에서 고양시갑 신지혜 후보와 선본은 끝까지 분투했습니다. 덕분에 당과 후보의 인지도는 크게 상승하였고, 비례득표에도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른바 진보정당 후보 측 선거운동원들의 폭언과 반말 사건 속에서도 우리 신지혜 선본과 운동원들은 끝까지 예의를 지켰고, 존엄을 잃지 않았습니다.

 

 

노동당 경기도당에게 이번 총선의 목표는 “2018년 지방선거로 가는 중기기획 중 하나로써, 조직적으로 선거 과정을 통하여 당 조직의 활성화와 새로운 정치주체를 발굴하고, 정치적으로 차별화된 의제 전면화와 신선한 인물의 인지도 제고라는 결과에 의하여 유의미한 정치세력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내용에선 의미에 충실했다고 할 수 있는 반면, 경기도 전체의 득표율로 볼 때에 크게 부족했음을 인정합니다. 더구나 당 전체와 운명을 함께 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자명합니다.

 

 

‘무거운 과제’라는 말로는 부족합니다. ‘다시 시작하는 마음가짐’이 아니라, 당의 역사와 노선을 계승하되 ‘완전히 새로이 시작하는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합니다. 변혁을 외치면서 정작 당 안에서는 변화와 실험보다 안전을 선택해온 우리에게 되돌아온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후 과정에서 ‘모든 당원들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모으는 과정’을 반드시 밟아야 할 것입니다. 경기도당 역시 꼼꼼한 선거평가와 재정비를 거쳐 2016 정기대의원대회가 승인한 사업계획을 차분하고 착실히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

 

 

1935년에 출발하여 1만 5,000킬로미터를 행군한 중국 홍군이 1936년에 자리를 잡았을 때에는 주력군 8만여 명 중 십분의 일에 불과한 8천여 명만이 남았을 뿐입니다. 대장정이라 불리는 이 신화는 사실 패퇴의 길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뒤의 역사를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쉬운 길이었다면 나서지도 않았을 사람들, 바로 당원동지들에게 존경과 감사 그리고 책임과 사과의 마음을 담아 허리를 숙입니다.

 


 
2016년 4월 18일


노동당 경기도당 위원장

나도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 [논평] 문재인 정부는 공공기관 자회사 강행을 중단하고 직접고용하라 - 한국잡월드 노동자들의 농성을 지지하며 경기도당 2018.11.01 3168
128 [논평] 경기도 기본소득위원회의 설치를 환영하며 - 청년배당을 넘어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 경기도당 2018.10.25 3470
127 자랑스러운 노동당 사람과 존경하는 지지자께 호소합니다 경기도당 2018.06.12 3530
126 [논평] 교육 현장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화를 지지한다 - 비정규 노동자 혐오 이언주 의원의 막말을 규탄하며 file 경기도당 2017.07.10 3704
125 [논평] 국민참여재판 배심원의 양식 있는 판단을 기대한다 file 경기도당 2017.07.04 3873
124 [논평]경기도 교육청과 이재정 교육감은 안전한 학교 급식 환경 마련을 위해 학교급식 노동자들의 배치기준을 현실적으로 조정하라 경기도당 2017.02.16 4283
123 [논평]남경필 경기도지사의 새누리당 탈당을 환영하며, 남경필 지사의 경기도지사직 사퇴를 요구한다 경기도당 2016.11.22 4027
122 [성명]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한다! 경기도당 2016.10.26 3857
121 [논평] 이제 와서, 그것도 지금 석탄화력발전소라고? - 포천시는 화력발전소 건설을 중지하고 친환경 대안을 시민들과 논의하라 file 경기도당 2016.08.20 4235
120 [논평]평택을 포함한 한반도 그 어느 곳의 사드 배치에도 반대한다! 경기도당 2016.07.13 3847
119 [부천시흥당원협의회 성명] 초중학교 입시경쟁 강화, 사교육비 증가만 부추기는 부천 과학고 설립을 반대합니다! 경기도당 2016.07.13 3649
118 [광주권역 당원협의회 성명] 푸드뱅크는 정치놀음이 아니다 경기도당 2016.07.04 3656
117 [논평]산업재해까지 외주화하는 하청, 파견 노동을 계속 두고 볼 것인가? - 남양주 지하철 공사장 붕괴 사고를 접하며 경기도당 2016.06.01 3707
» [담화문] “쉬운 길이었다면 나서지도 않았을 사람들에게” 경기도당 2016.04.18 3328
115 [성명] 정의당 심상정 선본의 성찰과 사과를 요구한다 경기도당 2016.04.06 3705
114 [논평] 선거방송 토론에 소수정당 후보자의 참석을 보장하라 경기도당 2016.04.05 3247
113 [논평] 당신이 황사 걱정하는 사이 - 고양 쓰레기 소각장의 유해물질 배출과 안전 불감증을 우려하며 경기도당 2016.03.08 3936
112 [논평] 박근혜 정부는 남북한 18만여 노동자들에 대한 실질적 해고조치인 개성공단 폐쇄를 즉각 철회하고 평화를 위한 대화에 나서야 한다 경기도당 2016.02.12 3447
111 [논평] 정부여당이 말하는 청년은 누구인가? - 알바노조 박정훈 위원장을 석방하고 근로감독관 제도를 제대로 감독하라 경기도당 2016.01.25 3777
110 [성명]나도원 위원장을 석방하고 노동개악 시도를 중단하라! -구리 남양주 당원 협의회 운영위원 일동 경기도당 2016.01.07 3427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 9 Next
/ 9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