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도자료]

노동당 최재연 경기도의원, 경기도 버스공영제 실현을 위한 토론회 발제문

 

3월 27일 목요일 2시, 경기도의회 소회의실에서 경기도 버스공영제 토론회가 개최됐다. 최재연 노동당 경기도 도의원(고양시 원신,고양,관산,홍도,화정2)이 해당 토론회 패널로 참석했으며, 노동당의 입장에서 완전공영제와 무상교통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다음은 발제문 전문이다.

 



경기도 버스 공영제 실현을 위한 토론회

(토론문)

 


   




5686f2d02f1e765672d1aa0ac954b48d.JPG



최재연 경기도의원

(고양시 원신, 고양, 관산, 흥도, 화정2)




○ 근래에 경기도 지사 선거를 둘러싸고 버스공영제-무상교통의 의제가 공론화된 것과 관련하여 매우 고무적임.

 

- 노동당은 지난 2010년 지방선거에서 스마트카드사 공영화를 통한 반값 정액권 도입 등 대중교통문제에 대해 입장을 내왔고, 버스준공영제에 대한 완전공영제 요구 역시 꾸준히 제기해왔음.

 

- 작년 하반기부터는 무상교통을 이번 지방선거의 핵심적인 공약으로 잡고 3단계에 걸친 공영화-무상교통도입 방안을 지난 2월 토론회를 통해 제출한 바 있음.


○ 전반적으로 발제자의 취지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다소 아쉬운 부분에 대해 첨가하겠음.

 

- 첫 번째는 버스공영제 이슈가 단순히 경제적인 측면의 문제로만 접근해서는 안된다는 점임. 물론 발제자가 지적한 바와 같이 현행 재정지원형 민영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좀 더 통합적인 대중교통체계를 운영하는 것이 공영제의 중요한 가치임에는 틀림없음.

 

- 하지만 노동당의 입장에서는 단순히 현재 민영제의 문제점을 고치는 것뿐만 아니라 좀 더 복합적인 사회정책으로서 대중교통정책을 조명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싶음.

 

○ 이를테면, 점진적 공영화방안에 있어 현행 보조금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보조금 제도로 들어오는 업체에게는 노선의 소유권을 양도받고 운영권을 일정기간 동안 부여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임.

 

- 하지만 이와 함께 경기도가 자체의 공영노선을 도입하여 운영하는 것 역시 반드시 고려해야 함. 현재 광역노선 위주로 신설되는 경기도 버스는 경기도의 소비를 서울로 집중시키는 효과만을 낳고 있으며 이는 경기도의 중소도시를 베드타운화하는데 일조하고 있음. 노동당의 입장에서는 관내 소규모 생활권을 지키고 지역내 경제생태계를 살리는데 이와 같은 공영노선, 나아가 무상교통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음.

 

- 또한 경기도가 직접 운영하는 공영노선이 있을 경우, 실제 버스를 운영하는데 소요되는 원가를 정확하게 산출하여 보조금의 남용을 막을 수도 있을 것임.

   

○ 그리고 완전공영제를 도입하는데 실제 면허권을 가지고 있는 경기도 내 시지역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함.

 

20140327_153505 copy.jpg



- 수원시나 성남시와 같이 등록업체를 많이 가지고 있는 시지역의 공영제 도입을 지원할 수 있는 도 차원의 지원센터가 필요하고 특히 재정지원을 골자로 하는 회계의 운영도 필요할 것임.

 

○ 노동당은 공영제의 도입과 나아가 무상 교통으로의 확대가 자가용의 증가-> 도로 건설의 확대로 이어지는 ‘토건의 악순환’ 구조를 끊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가치적 전환이라고 판단하고 있음.

 

- 사실 GTX나 경기도 곳곳의 경전철 논의는 사실 경기도민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데 불편하기 때문이며, 이를 비용도 많이 드는 철도니 전철을 개설하기 보다는 좀 더 탄력적으로 교통수요를 관리할 수 있는 버스체계를 활용하는 것이 환경적으로도 도시계획적으로도 더욱 우수하다고 생각함.

 

○ 아무쪼록 오늘의 토론회가 일회성의 행사가 아니라, 완전공영제와 무상교통의 가치에 동의하는 제 단체들이 함께 힘을 모아 나가는 출발점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음.

 

- 노동당 차원에서도 이미 무상급식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세력들과 오랜 기간 함께 했던 경험이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공영제와 무상교통이라는 하나의 의제를 가지고 다양한 세력을 모아서 반드시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음.

 

○ 노동당의 광역후보들은 물론이고 완전공영제와 무상교통을 확대해나가는데 동의하는 모든 후보들이 함께 힘을 모아내는데 함께 하겠음. 「끝」

 

2014년 3월 28일

노동당 경기도당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 ‘경기도 급식시설 방사성물질 차단에 관한 조례’ 경기도의회 본회의 가결 환영 경기도당 2014.04.15 3696
88 경기도 급식시설 방사성물질 차단에 관한 조례 원안 상임위 심의 통과 환영 file 경기도당 2014.04.09 3744
» [보도자료] 노동당 최재연 경기도의원, 경기도 버스공영제 실현을 위한 토론회 발제문 file 경기도당 2014.03.28 5052
86 [논평]또 다시 발생한 삼성전자 누출사망사고-변함없이 하청업체 노동자들의 안전을 내팽개치는 삼성을 규탄한다. 경기도당 2014.03.27 3756
85 [논평]공공기관 위탁/용역 노동자들을 위한 생활임금조례 끝내 부결시킨 김문수 도지사와 새누리당을 비판한다. 경기도당 2014.02.13 3764
84 [논평]홍문종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포천 아프리카박물관 문제 해결과 더불어 모든 직책에서 사퇴하라! 경기도당 2014.02.12 4182
83 [논평]김문수 도지사는 역사 왜곡 논란 '경기도 현대사'의 교재 체택을 중단하라! 경기도당 2013.11.07 4590
82 [성명]아이들의 밥그릇 빼앗는 김문수지사 규탄한다. 무상급식예산삭감 방침 즉각철회하라! 경기도당 2013.08.19 5974
81 [논평]또 다시 일어난 삼성전자 화성공장 누출 사고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꼉보고 놀란다. 삼성은 철저한 진상 조사와 대책을 마련하라 경기도당 2013.07.26 6411
80 [보도자료]진보신당 경기도당, <노동당 경기도당>으로 당명 변경 경기도당 2013.07.22 6038
79 [성명]쌍용차는 손배소와 가압류로 노동자들을 더 이상 죽음으로 내몰지 말라! 푸른고래 2013.07.15 6326
78 <논평> 금품수수, 지방의원행동강령 위반한 윤화섭 경기도의회 의장은 즉각 사퇴하라! 경기도당 2013.06.18 7296
77 미군의 불법수사, 인권유린에 정부와 국회, 평택시가 나서서 강력히 대응하라! 푸른고래 2013.06.17 7229
76 [논평]전국의 명산들은 코오롱의 안마당인가? 102곳 유명산을 대상으로 한 코오롱의 가처분신청은 지나가던 소가 웃을 일이다. 95 경기도당 2013.05.30 7361
75 [논평].또 다시 불산누출사고, 우리사회의 ‘또 하나의 불안’ 삼성전자의 안전불감증을 규탄한다. 67 경기도당 2013.05.06 9364
74 [논평]한국인 수갑채운 미군범죄자들의 출국을 도의해 준 검찰규탄 118 경기도당 2013.03.14 7849
73 [논평]쌍용자동차 무급휴직. 징계휴직 노동자 489명의 복직을 환영한다. 395 경기도당 2013.03.06 11855
72 [논평]산업재해로 사망한 노동자도 입건한 경찰, 삼성공장 불산누출 책임을 원청업체 사업주가 아닌 협력업체 노동자에게 떠넘길 것인가 125 경기도당 2013.02.27 10396
71 [논평]경기도의회 최재연의원(진보신당)의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불산 누출사고 진상규명 촉구 결의안 채택을 환영하며. 242 경기도당 2013.02.01 9206
70 [성명서]쌍용차, 진정성 있는 무급자 복직과 국정조사 실시 103 file 푸른고래 2013.01.21 6459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 9 Next
/ 9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